107page

장갑차 설계시 기동성능을 판단할 수 있는 요소 중의 하나는 장애물 통과능력 이다 장애물 통과능력에는 . 전복이 되지 않는 범위에서의 기동 가능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수직장애물 통과능력과 기동에 장애를 초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참호 통과능력이 있다. 그렇다면 궤도형 장갑차의 장애물 통과능력은 어떻게 결정 되는 것일까? 가 참호 통과능력 . 참호 통과능력은 참호진입시의 통과능력 과 이탈시의 통과능력으로 구분할 수 있 다. 진입시에는 궤도의 길이가 변하지 않는 다고 가정할 경우 무게중심(CG: Center 선이 점을 지나기 직전에 기 of Gravity) B 동륜이 A점에 점착할 때 최대 통과능력 을 가지며 (L1) , 이탈시에는 무게중심선이 점을 지난 직후에 유동륜이 점에 점착 A B 할 때 최대 통과능력 을 가진다 (L2) . 차체의 크기와 현수장치 등의 조건을 고려한 상태에서 무게중심으로부터 기동 , 륜과 유동륜간의 거리를 최대로 하여 결 정된 K-200 장갑차의 이론적인 참호통과 폭은 이다 1.64m . 기동륜 유동륜 그림 참호 통과 원리 < 1. > 나 수직장애물 통과능력 . 수직장애물 통과능력은 상향시의 통과 능력과 하향시의 통과능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향 장애물 극복시에는 구동력에 따른 궤도의 미끄럼 을 고려하지 않을 (Traction) 경우에 무게중심이 선상에 있으면서 AB 궤도 이탈면이 지면에 닿을 때 최대 통과 능력 을 가지며 하향 장애물 극복시 (H1) , 에는 무게중심이 선 상에 있으면서 궤도 AB 접근면이 지면에 닿을 때 최대 통과능력 을 가진다 (H2) . 마찬가지로 무게중심으로부터 궤도의 접지면까지의 높이를 고려하여 결정된 장갑차의 이론적인 수직장애물 K-200 통과 높이는 이다 0.64m . 그러나 장갑차를 실제 운용할 때는 최초 설계시 고려했던 모든 조건들과 일치하지만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운용자의 입 . 장에서 특히 기동간 장애물을 통과해야 , 할 경우에는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병력을탑승시키거나 물품 등을 적재할 필요가 있다. 이탈면 접근면 그림 수직장애물 통과 원리 < 2. > 궤도형 장갑차의 장애물 통과능력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