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page

75 40문 40답으로 알아보는 11·3 학생독립운동 11·3 학생독립운동 참여자들은 옥중에서 어떻게 싸웠나요? 법정 투쟁과 옥중 투쟁 34 학생들은 판결을 받기까지 1년이 넘는 기간을 형무소에서 지냈습니다. 이에 학생들은, 일제의 재판 지연과 고문·가혹 행위에 맞서 옥중투쟁을 전개하였습 니다. 1930년 1월, 성진회 사건으로 수감되어 있던 강석원은 매서운 한파로 심한 감기와 복통은 앓았습니다. 강석원에게 일제는 약을 주기는커녕 일본인 간수는 악 담까지 하여 실랑이가 벌어졌고, 강석원은 양손에 수갑을 차는 벌을 받게 되었습니 다. 이에 학생들은 단식투쟁으로 해당 간수의 파직과 수감 학생들에 대한 처우 개선 을 요구하였고, 결국 형무소장의 허락을 받아냈습니다. 3·1절이 되자 수감 학생들은 각 감방의 벽을 두드리는 암호 연락으로 일시에 ‘대 한독립 만세’를 외쳤습니다. 감방 안이었지만 항일의 결의를 다졌던 것입니다. 7월 7일, 독서회 사건으로 수감된 김보섭이 이야기 소리가 크다는 이유로 간수의 대 검에 얼굴이 찔리는 사건이 발생합니다. 분노한 광주형무소에 수감된 수백 명의 학생 뿐만 아니라 일반 죄수들까지 합세하여 ‘일본제국주의를 타도하자’, ‘대한독립 만세’, ‘동지들아 끝까지 싸우자’ 등을 외치며 항거합니다. 시민과 일반 학생들도 형무소까지 몰려와 ‘용감히 싸워라’, ‘학생들을 석방하라’ 등의 구호를 외치며 호응합니다. 8월 1일, 성진회 사건으로 수감된 유치오가 피부병이 심해지자 방을 옮겨 줄 것과 치료를 요청합니다. 간수는 치료는커녕 유치오에게 심한 폭행을 가합니다. 이에 수 감학생들은 일제히 들고 일어나 비인간적인 형무소의 만행을 규탄하였습니다. 1931년 6월 재판이 일단락된 뒤에도, 학생들의 옥중투쟁은 계속됩니다. 1932년 4월 17일 광주형무소에 수감되어 있던 오쾌일 등 10여 명은 수감자들의 처우 개선 을 요구하며 단식투쟁을 벌이기도 하였습니다. 이처럼 학생들은 법정에서 추호도 굽힘이 없이 당당하게 재판에 임하였습니다. 옥 중에서도 일제의 가혹한 탄압에 끝까지 굴복하지 않고 구호·단식 등으로 저항하였 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