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page

26 40문 40답으로 알아보는 11·3 학생독립운동 광주고보에서 맹휴가 일어나자 광주농업학교도 맹휴에 돌입합니다. 학교는 기다 렸다는 듯이 즉각 탄압에 나서 주동자 12명을 퇴학시켜 버립니다. 나머지 학생들에 게는 무기정학 처분을 내립니다. 이에 격분한 학생들은 맹휴지도본부를 결성하고 조직적으로 대항하였습니다. 광주농업학교의 맹휴는 10월까지 지속되었으나 일제의 폭압적인 탄압으로 끝납니 다. 경찰에 잡혀간 학생 가운데 5명이 재판에 회부되어 징역 8월에서 6월에 집행유 예 2년을 선고받았습니다. 광주고보와 광주농업학교를 중심으로 한 대맹휴 투쟁은 일단 막을 내립니다. 그러 나 투쟁이 실패하거나 끝난 것은 아니었습니다. 맹휴 과정에서 학생들뿐만 아니라 학부모와 국내외에서 활동하고 있던 졸업생, 그리고 일반시민들까지 참여함으로써 항일 민족의식은 크게 높아졌습니다. 또한 맹휴의 목적도 선명하게 드러났습니다. 교사 배척이나 시설 개선에 국한되지 않고 식민지 노예교육의 철폐, 민족해방운동 의 성격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나아가 각 학교의 비밀결사 활동을 바탕으로 맹휴중 앙본부가 구성되어 통일적이고 조직적으로 맹휴를 지도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장기 간에 걸친 투쟁을 더욱 효율적으로 전개할 수가 있었습니다. 1920년대 광주 지역의 학생층은 강렬한 항일 민족의식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들 은 비밀결사 활동과 지속적인 맹휴를 통해 단순히 교육 차별문제에서 벗어나 일제의 식민통치를 거부하고 민족의 독립을 주장하는 단계로 나아갔습니다. 이러한 활동은 성진회나 맹휴중앙본부, 독서회중앙부와 같은 통일적인 지도부에 의해 단단하게 길 들여졌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입니다. 광주 학생들은 ‘이경채 사건’에 대해 어떻게 저항했나요? 11·3 학생독립운동의 배경 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