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page

20 40문 40답으로 알아보는 11·3 학생독립운동 민족 차별 교육에 대해 한국 학생들은 어떻게 저항했나요? 11·3 학생독립운동의 배경 04 1920년대 학생들의 대표적인 저항 운동은 동맹휴학투쟁(맹휴투쟁)이었습니다. 맹 휴투쟁은 학생들이 학교에 일정한 요구 조건을 내걸고 이를 관철시키기 위해 등교거 부, 수업거부 등을 행하는 것입니다. 맹휴투쟁은 1920년대 점차 증가하다가, 1927년을 기점으로 대폭 증가하고 있습 니다. 1927년에는 13도 전체에서 맹휴가 전개될 만큼 전국적인 현상으로 확대되었 습니다. 1920년대 중반에 전개된 맹휴는 주로 보통학교(초등학교) 중심의 맹휴였습 니다. 따라서 맹휴의 성격이 단순하고 일회적이었으며 투쟁성도 강하지 못하였습니 다. 그런데 1927년을 기점으로 중등학교의 맹휴 건수가 급증하였습니다. 초등학교 대 중등학교의 맹휴 건수가 1926년 33 : 20에서 1927년 36 : 36, 1928년 32 : 49 로 역전되었습니다. 또한 맹휴의 성격도 식민정치에 대한 저항으로 발전하고 있습 니다. 이에 따라 조선 총독부에서도 1927년 이후의 맹휴에 주목하였습니다. 1927 년 조선일보는 사설을 통해 맹휴의 근본 원인을 “침체한 교육제도가 일취월장하는 학생의 사상과 충돌해서” 발생한다고 하였습니다. 이처럼 식민지 교육현실에 대한 불만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연도 1921 1922 1923 1924 1925 1926 1927 1928 1929 계 건수 23 52 57 14 48 55 72 83 78 4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