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page

2020년1월31일 금요일 7 (제157호) 관향조 종친회 돈녕공은가세공훈이일찍이성씨를얻음으로부터조카원 종(元宗)의대에까지미쳐영상으로써또정국공신의호를받 아 더 욱 훌 륭 하 게 되 었 으 니 공 이 가 득 차 면 손 상 을 초 래 한 다 고 깊이 스스로 경계하여 드디어 분연히 가족을 이끌고 호남 의 나주(金城, 현 영암군 신북면)에 남하하니 인하여 자손의 전거지로 삼았으니 심중에 헤아려보건대 공의 지조가 견고하 고 명철함이 또한 어떠한지를 알 수 있다. 슬하에 5남을 두었 으니 장남 이온(而溫)은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철원부사 (鐵原府使), 증 공조판서, 승평군(承平君)에 추봉되었으며, 차남 이량(而良)은 호조참의, 삼남 이공(而恭)은 성균생원 (成均生員) 창신교위(彰信校尉)이며 문행과 덕망이 있었다. 라고 광주읍지에 기록되었으며 4남 이검(而儉)은 정국공신 (靖國功臣)으로 청도군수를 지냈으며 순성군(順城君)에 봉 군 되 고 증 공 조 판 서 시 호 양 평 (襄 平 ) , 5 남 이 양 (而 讓 ) 은 현 감 이다. 이로써 돈녕공파는 승평군파(承平君派), 참의공파( 핫議公 派), 생원공파(生員公派), 양평공파(襄平公派), 현감공파(縣 監公派)로 각각분파되어선현선세(先賢先世)로부터 이어내 려온 가훈 가전충효 세수청백(家傳忠孝 世守淸白)의 가풍을 지키며광주븡전남의토호세족으로번성하였다. 승평군의 휘는 이온(而溫), 字는 자화(子和)이다. 1461년 (세조6)2월19일에태어나서총명하고문예가훌륭하더니14 96년(연산2)에사마시에합격하고음직으로사포별제를제수 받고 1506년(丙寅, 중종 원년)에 정국공훈으로 돈녕부 판관 에 오르고 다음해 정묘(丁卯,1507)년에 승차하여 1509년에 철원도호부사에 나갔고, 1510년에 노친(老親)을 봉양하기 위 해 임피(전라북도 군산 지역의 옛 지명) 현령이 되어 나가 선 정과 청백함으로 임기를 마치고 돌아갈 때 읍면들이 거후사 (去後思)비를세워 송덕하였다.1514년에익산군수가 되었다 가 부친상을 만나 거상 중에 슬픔 때문에 여위어 뼈가 드러날 정도여서향인이다효자라칭하고탈상후에임천(현충남부 여군남부지역에있었던행정구역)군수가되어일심으로백 성을 사랑하며 정무가 관평하니 파직되던 날에 군민이 상소 하여 유임하기를 청하였고, 1520년에 금위장으로 풍천(황해 도 송화)부사와 중화군수(평안남도 남부에 위치한 군) 제수 하니전후임관에다선치(善治)의이름을얻어도백의별천에 들어간 것이 많았다. 1524년 10월 19일에 병을 만나 12일이 지 난 경인(庚寅)일에 졸하니 향년 64세였다. 1525년 정월에 이 조에서 장계하여 자헌대부 공조판서 승평군에 증하고 예조에 서청하여3등공신으로나주원정리술좌의벌에예장하였다. 부인은정부인광주정씨이며교수정이효의따님이다.아들을 둘 두었는데 장남 운손(韻孫)은 정국공신(靖國功臣) 부호군 (副護軍)이고,장손10세대림(大臨)은부호군이며11세문수 (文秀)는 성균관 진사이며 부사과이다. 차 자 9세 시손(蒔孫) 은 화릉(和陵,조선 태조의 어머니 의혜 왕후의 능) 참봉이며 10세 효림(孝臨)은 참판( 핫判)이다. 참의공의 휘는 8세 이량(而良), 자(字)는 사필(士弼)이다. 1464년에 태어나고 통정대부 호조참의를 지냈다. 公은 출사 (出仕)이후들어오고나감을명확히하였다.안으로는호조참 의와 밖으로는 주목(州牧)을 지내면서 언로(言路)와 행정을 통하여 그 포부를 펼 수 있는 것은 필연적이었지만 아버지 돈 녕공이 그에게 훈업(勳業)의 융성함을 경계하여 은둔생활을 꾀하자 아버님을 모시고 나주로 남하하여 작고할 때까지 은 둔하며 의리를 지켰다. 부인은 숙부인 영산신씨이며 현감 철 정(哲貞)의따님으로아들둘을두었는데장자는9세지손(芷 孫)으로 장예원 사평이고 그의 아들 10세 응청(應淸)은 참봉 으로남원부사를지냈다. 생원공의 휘는 8세 이공(而恭)이다. 성균생원으로 산림(山 林)에서 즐기고 음질(陰秩)로 창신교위이다. 공(公)은 한 결 같이 선고(先考)의 마음(공이 가득차면 손상을 초래한다)으 로 마음 삼아 끝까지 물러나서 두 번 옮기어 광주로 들어와 살 곳을 정하여 자손들을 편안하게 할 길을 마련했다. 부인은 진 원박씨인데 직제학 희중(熙中)의 따님이다. 슬하에 인손(仁 孫), 의손(義孫), 예손(禮孫) 삼형제를 두었는데 장자 9세 인 손(仁孫)의 字는 인경(仁卿), 벼슬은 사맹(司猛)이다, 장손 1 0세 함(緘)은 부사과(副司果), 차손 10세신(紳)은 사과(司 果)이다. 차자 9세 의손(義孫)의 字는 의경(宜卿)으로 무과 중시에 합격 통훈대부 남포현감(藍浦, 현 충남 보령군)이다. 그의 증손자 11세 언침(彦琛)의 호는 만취당(晩翠堂)으로 참 봉에 제수되었으나 취임하지 않았다. 충열공 제봉 고경명의 문인이며 젊은 시절에 문필이 뛰어나 사림의 추앙을 받았으 며,현손 휘14세상현(尙玄)의 字는 경초(景初)호는우헌(寓 軒)으로 병자년 뒤에 세상에 뜻을 끊고 성리학에 전심하였다. 증 사헌부장령이다. 소시부터 과거를 포기하고 사물의 이치 (理致)를 연구하는 공부에만 전심(傳心)하였다. 우암 송시열 과 더불어 편지를 왕복하고 학문을 논하며 분변하고 드디어 천리의 정신적 사귐(千里神敎)이 되었으니 우암 선생이 자주 칭장(稱漿)하면서 유림(儒林)이 의탁(依託) 할 곳이 있다고 하였으며, 만년의 지기지우(知己之友)로 허교(許交)하였고, 진천사에배향되었다. 현손 휘 13세 창우(昌禹)의 字는 배언(拜言), 호는 칠졸재 (七拙在)이다. 1598년 태어난 公은 효우(孝友)와 기절(氣節) 로 추앙받았다. 1624년 진사에 오르고 1636년 병자호란에 운 암 이흥발, 한림 양만용 등 제공(諸公)들과 의병을 모집하여 여산에 집결하여 남한산성으로 행군도중 청주에 이르러 강화 도가 함락되고 화의가 성립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이(李), 양 (梁)제공들과북향통곡하고의병을해산하여고향에돌아와 인통함분(忍痛含憤, 원통하고 분한 마음을 참고 견딤)의 네 글자를써벽에걸고종신토록은거했다. 우헌공의 아들 15세 광일(光一)의 호는 손재(遜齋)이다.17 13(癸巳)년에는 왕자사부(王子師傅), 1717(丁酉)년에 세자 시강원 자의(世子侍講院諮議)를 제수하는 등 연이어 종부시 주부(宗簿寺主簿)를 제수하였으나, 누차 상소하여 사양하고 나가지않았다. 우암선생에게 사사하니 문장과 도덕이 뛰어나 호남유학 중 흥에 초석이 되었던 손재선생은 심경답기(心經 逗記), 근사록 답기(近思錄 逗記), 명성도도설(命性道圖說), 호연장문답(浩 然章問答), 괘변설(卦變說), 삼재일태극도설(三才一太極圖 說), 생음생양설(生陰生陽說), 중정인의주정설(中正仁義主 靜說), 면재오행설변(勉齋五行說辨), 하도생성수설(河圖生 成數設),고괘선후갑설(蠱卦先後甲說)과 시문(詩文)등을 많 은 저서를 남겼다. 뒷날 호남의 유림(儒林)이 선생의 학덕(學 德)과 절의(節義)를 기려 광주 진천사(眞泉祠)와 강진 남강 사(南康祠)에 배향하였으며 광주에는 충장로, 금남로와 같이 손재로(遜齋路)가있다. 칠졸재공의 손자 15세 광후(光後)의 字는 사술(士述)이며 호는 안촌(安村)으로 1666년 생원시에 오르고 우암 송시열 선 생에게 사사(私事), 성리학의 도리를 초년에 전수하여 수행 에 들어갔다. 학식이 고명하여 호남 선비들의 사표로 추앙받 았다. 우암 선생은 은산철벽(銀山鐵壁, 깨끗하고 굳센 지조를 지녔음)이라 칭송하였고, 영의정 문공 김수항은 큰 불속에서 도 타지 않는 옥이라 칭송하였다. 公이 졸한 뒤에 우암선생이 소은(素隱) 신천익(愼天翊, 1592~1661)에게 준 편지에 ‘군의 부친이 작고한 후로는 세상에 나를 알아주는 사람이 없다.’라 고썼다. 13세 치도(致道)자는 학수(學秀),호는 검암(黔巖)이며 통 정대부(通政大夫)승정원좌승지(承政院左承旨)에이르렀다. 생원공의 삼남 9세 예손(禮孫)은 기록이 전해지지 않고 손 자대(代)에이르러무후(无后)이다. 양평공의 휘는 이검(而儉), 字는 국화(國華)이며, 호는 지 포(芝浦)이니 1470년 돈녕공의 넷째아들로 태어나 소시부터 학업에 근면하여 문장이 숙성하고 효성이 근천하며 우애가 독실했다. 1505년(연산11) 겨울에 부호군이 되었고, 1506년 중종반정에 정국공신으로 돈녕판관에 오르고 이듬해 훈련원 봉사가 되었다가 다시 곤양군수를 제수하고 1514년에 진주진 관이 되었다가 1515년 3월에 부친상을 만나고 탈상 후에 또 전라도병마절제사가 되고, 1526년에 첨지충주부사가 되었다 가미기에 청도군수가되고순성군(順城君)에봉해졌다.사후 자헌대부 공조판서에 증직되고 시호는 양평(襄平)이다. 부인 은증정경부인함평이씨이고아버지는부직필(弼)이다. 두 아들을 두었는데 장자 9세 기손(麒孫)은 진사(進士)에 급제하였으며 정국원종공신에 책봉되고, 병절교위 행 충좌위 부사용이었으며 군자감(軍資監)의 판관(判官)을 거쳐 부정 (副正)에이르렀다그의 고손자 12세 휘효립(孝立)은 어려서 부터 용맹하여 그 용맹이 호랑이를 잡을 수 있었다 한다.인조 반정 거의(擧義)에 참여하여 정사공신이 되고 가선대부 파주 목사에 부임하였으며, 순원군(順原君)에 봉군되었다. 1624년 이괄의난에적이궁궐을참탈함에어좌(御座)를공이보호하 여 옥체를 지켰으며, 피하는 중에 어깨에 화살을 맞고도 통증 을 참고 야향 삼백리를 거쳐서 공주성 안에 조정을 피화시켰 다.임금이 말하기를 오늘 박모 같은 충신이 누가 또 있겠는가 하였다. 왕명으로 부조지전이 내려져 부조묘가 전남 보성군 복내면 봉계리에 있으며, 인종묘에 조록훈제직(朝錄勳濟職) 되어 이으며, 전식(全湜)이 찬한 어제교서(御製敎書)와 행장 이있다. 양평공의 차자 9세 린손(麟孫: 사촌 형이 仁孫이라 린손으 로 부름)의 字는 언인(彦仁)이고, 1498년에 태어나 정국원종 공신에책봉되고수충좌위상호군(守忠左衛上護軍)을 지내고 어모장군에 올랐다. 후손들이 전하는 말에 따르면 박이검과 박린손 부자가 영암에 가기 위하여 공주 경천역(현재 계룡면 양화리)에 머물렀는데 박린손이 병이 나서 어쩔 수 없이 경천 역에 남겨두게 되었다.마침 이곳에 살던 진주정씨 정세규(鄭 世規)가 박린손의 인물됨을 보고 사위로 맞이하여 양화리에 터를잡게 되었다고한다.증손자인 11세정제(朴廷濟)는 1624 년 이괄의 난 때 어가를 호종하여 공신녹권(功臣錄卷:공신 전 체의 공적과 상훈을 기록한 문서)을 받음으로써 공신 집안으 로유명해졌다. 현감공의 휘는 이양(而讓)으로 관직은 현감(縣監)이다. 아 들억령(億齡)은만호(萬戶)이다. 돈녕공파 세거지 변천을 보면 돈녕공의 선세(先世)가 고려 와 조선을 거치면서 대대로 고위직에 있어 주로 한양에 세거 지를 두고 있었으나 돈녕공께서 조카(원종)의 성만함을 보고 지나치면 위화가 올 것이라고 경계하여 나주(현 영암군 신북 면)에 세거지를 옮긴 후 부귀를 부운같이 보고 산림으로 본분 을 삼아 한가롭게 스스로 즐기고 자손을 교육함으로 본무를 삼으니 후손들이 청덕과 학문이 세상의 추중함을 받으며 광 주와 전남 지역 사림의 추앙을 받으면서 호남지역을 중심으 로세거지또한넓혀져나갔다. △승평군의 장자 9세운손 후손들이현 광주서구 방림동 동 아여고부근(유안동)에 거주하는 것으로 전해지고.증손 11세 덕수 후예는 경북 군위(軍威), 고손 12세 홍무(弘茂)의 후예 는 충남 논산, 승평군의 차자 시손의 후예는 전북 고창, 정읍, 조양(朝陽)으로 주로 광주와 논산,군위,고창 등에 산재해 있 다. △참의공파의 후예는 나주 풍동을 중심으로 나주 공산, 전 남 강진, 화순 춘양, 나주 동강 등 전남 지역에 산재하고 이북 황해도해주에도살고있다. △생원공파의 후예는 광주 광산구를 중심으로 장수, 하남, 안청, 광양시 등지에 산재하고 있으며, 생원공의 차자 의손의 후예는 진곡, 안청, 표산, 12세 천민(天民)의 후손은 구례, 12 세 성민(聖民)의 후손은 보성군 고읍, 12세 충정(忠挺)의 후 손은 장동, 13세 장림(章林)의 후손은 보성군 고읍에, 14세 휘상후(尙厚)의후손들은광주에서전북순창에세거한고14 세 상규(相規)의 후손들은 임실, 14세 상준(尙準)의 후손은 광주에서 전남 화순으로 이거했는데 광주에 세거하는 후손들 이가장번성했다. △양평공의 장자 휘 기손(麒孫)의 장자 명성(命星)의 후손 은 전남 보성, 차자 희성(希星)의 장자와 차자 전북 순창, 삼 자는 경남 합천(陜川), 넷째는 충남 청양, 양평공의 차자 린 손(麟孫)은 충남 공주 계룡면 양화리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 다. △현감공의후예는전북고창,전남해남,경기남양주,나주 동강지역으로이거세거한다. 뱚▶6면에서계속 돈영공묘소(上)및일모재-전남영암군신북면 뱚돈녕공파약사 돈녕공묘역 돈녕공신도비(일모재입구도로변)파평윤오중撰 뱚 ▶승평군파(承平君派) 뱚 ▶참의공파( 핫議公派) 뱚 ▶생원공파(生員公派) 뱚 ▶양평공파(襄平公派) 뱚 ▶현감공파(縣監公派) 뱚집성촌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CMY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