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page

2) 후기 의병전쟁 (1)후기 의병진쟁 배경 가. 일제의 을사조약 강제 1904년 2월 8일 러일전쟁을 도발한 일본은 5월 30일 각의에서 한국을 정치 · 외교· 경제적으로 징억하려는 ‘ 제국(-,j꽤)의 대한방침(¥ 폐기針)’과 ‘대힌 -시설강령(페센패꽤쩨껴)’ 등을 결정했다. 일본 은 대한제국에 일본이 추천히는 재정고문 메가다 타네타로(I |짜머“샤”), 외교고문 미국인 스티 븐스(Durham \'V'hite Stevens. 1851∼190히를초빙하게 하고, 한국정부궁내부·군부·경찰·학부에 각 각 일본인 고문을 두게 했다. 힌국 국권의 대부분이 이때 일본인의 손으로 넘어간 것이나 다름 없었다. 일본은 1905년 11월 9일 이토 히로부미(伊빼9文)를 특명전권공사로 파견했다. 11월 15일 일 본 공사 해 F시 곤쇄]U-K 剛)와 조선 주둔 일본군 사령관 히세가외- 요시미치(長용川好따)는 일 본군으로써 황궁을 포위하여 공포분위기를 조성한 기운데 광무황제에게 한국을 보호국화 히는 한일협약안인 을사조익뇨을 압맥}였다. 광무황제는 조익승인을 거부하였다. 히야시 공사와 이토 히로부미는 대신들을 개별적으로 불 러 위협과 회유했다. 참정대신 한규설(•꾀圭댐1), 탁지부대신 민영기(I원써씌), 법부대신 이하영(쭈딩 .)이 반대하고, 학부대신 이완용{추完用), 군부대신 이근택(쭈싸떻), 내부대신 이지횡李址짜), 외 부대신 박제순(朴젠패), 농상공부대신 권중현빠훤劇은 회유외- 압력에 넘어갔다. 11월 18일 새 벽 조약은 이토 주재회의에서 이들 5대신의 찬성으로 통과시켰다. 비준권자인 광무황제는 이를 거부하였다. 그럼에도 황제의 비준도 없는 상태에서 조약은 공표되었다. 힌국에 주재하던 외국 공사관들이 이 조약 체결로 칠수히-고 힌국은 외교적으로 고립무원 상태에 UH]·졌다. 이듬해 2월 통감부가 설치되고 초대 통감으로서 이토 히로부미가 취임하였 다. 나. 국권침탈 항의 자정 순국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r황성신문(皇城훼閒l.1은 「시일야방성대곡(是11 ilihz딴太짜)」 즉, ‘오늘목놓 아 통곡하노라’는 의미의 논설을 실어 국민의 의분을 불러 일으켰다. r대한매일신보(太韓每 Rifl 2. 경기도 국권회복운동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