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page

운동에 참여함으로써 탄압의 대상}이 되면서 더욱 결속력 있는 학생층이 항일독립운동의 주 세 력이되었다. 1920년대 학생운동은 일본인 교장, 교사 배척 등의 이슈로 동맹휴학 단행, 학생비밀결사 활 동으로 전개되었다. 광주학생운동에 호응히여 개성의 송도고등보통학교, 호수돈여고보, 미리 흠여학교의 동맹휴학과 시위 인천공립상업학교 항일만세시위, 개성학당상업학교 동맹휴교. 오 t핑립보통학교 동맹휴교기- 있었다. 경기지역 학생 비밀결사운동으로는 수원고등농림학교독서회 운동, 조선학생동지회의 제2의 3·1운동 계획, 신풍공립보통학교 졸업생이 중심이 된 조선예술호연구구락부(꿰빡했!trHfiff처H樂 끼II)의 무장항쟁계획, 강제징명을 피송~JI7.l- 하는 학생들이 포천 보덕시- 조선민 족협동딘-의 무장 투쟁 기도등이 그러한 예이다. 1930년대 학생운동의 중요한 부분은 농촌계몽운동이었다. 학생들의 참여하게 조선일보의 문 자보급운동, 동아일보의 브나로드(‘대중속으로‘라는 러시아어; 면재 운동은 이 시대 대표적인 농촌 계몽운동이었다. 이 운동은 일제의 우민화교육정책에 반대히여 문맹퇴지와농민들의 민족의식 을 일깨우기 위해 전국에서 펼쳐졌다. 개성 송도고보 미리흠여희교. 호수돈여고보 등의 학교 가 문자보급운동에 적극적이었고, 브나로드 운동 참여는 경기£7]- 가장 많았다 . 이와 같은 학 생들이 계몽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된 곳으로 수원, 안성, 양주, 포천, 고양, 시흥, 광주, 강회를 조드/- 。1「L 2 -「 까 λ.., 조선일보, 동아일보를 통한 계몽운동과 함께 독자적인 농촌계몽운동도 경기도내에서 펼쳐졌 는데. 대표적인 것이 회정군 반원면 사리 샘골마을과 주변지역에서 벌인 최용신의 농촌계몽운 동이다. (6) 칭년운동 3·1운동 이전에도 인천, 개성, 고양, 광주, 용인, 진위. 수원, 강화 등지에는 구락부{il뺏입). 당f셋), 또는회(會)라는이름의 청년운동단체들이 있었다. 3 · 1운동후에는이러한청년운동단 체를이 주로 ‘∼청년회’란 이름으로 경기도 전역에서 생겨났다. 이러한 단체들은 대체로 계몽적 성격을 띠고 있었다. 이들 단체들은 1923∼24년을 지나면서 사회주의 딘체로 성격이 변히는 경 4. 1920년대 이후 경기도 독립운동 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