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page

성과 인천 등 공업지대에서 노동단체들이 조직되고 활동이 활빌해지면서 노동문제가본격적으 로등장하게 되었다. 1920년 4월 최초의 대중적 노동단체로서 조선노동공 제회 지부가 인천, 강화, 개성에서 조직 되었다 . 1922년에는 인천노동연맹이 노동조합 성격으로 조직되었다. 이 시기 파업투쟁은 부도 및운수노동지들이 앞장섰으며, 정미공장노동자들이 뒤를이었다. 1923년 9월에는 파주 봉일천노동회가 창립되었다, 1923년 12월 3일에는 인천부 류정 일대의 각 정미소 300여 명의 직공이 임금인상을 요구하며 일제히 동맹파업에 돌입했다. 이와 같은 동 맹파업이 각지역에서 개별적으로 전개되었다. 1925년 11월 22일 고양 노동청년회기- 조직된 것은 지역 내 각 직업별로 분산되어 활동 해온 노동조합을하나의 연맹으로 결속하려는움직임이었다. 지역별노동연맹은그해 12월 더 큰지 역범위에서 통합하려는 움직임으로서 경인노동간친회가 열렸다. 이에 따라 1920년대 말에는 파업의 참여 범위가 확 대되었으며, 광산노동자, 토목노동자의 파업이 증가했다. 또한 노동지­ 상호간 연대가 강화되면서 파업 지속일수가 늘어나고 양싱F 이 격렬하게 되었으며, 파업이 점치­ 정치적 성격을 띠어갔다. 1930년대 노동운동은 노동자들의 민족적 계급적 각성이 높이-지띤서 개량주의적 경향을 극 복하고 공 세화 정치투쟁화해 갔다. 노동자 조직이 강화되자 파업 등 투쟁기간도 길어졌다. 그 러나중일전쟁, 태평양전쟁으로 전시체제가 강화되면서 노동운동은「시장범 예방구금령」 「국방 보안법4 「개정 치안유지법」, 「 조선임시보안 법£을 잇따라공포히여 노동운동에 대한탄압을 강 화했다. 따라서 탬은 더욱 지하화뼈 은밀한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노동운동은 일제의 식민지 지배의 모순속에서 배태된 것으로, 일제의 타도 와 민족의 독립 없이는 노 동자들의 상황이 개선될 수 없기 때문에 민 족독립운동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학생운동 대중시위운동으로서의 3· 1운 동은 학생층의 존재가치를 인식히는 데 중요한 전기가 되었다 . 특히 3 ·1운 동 직전에 완성된 일제의 군-면- 동리(구)의 수직적 일원적 지방통치체제의 구축으 로 농민층에 대한 수직적 재편이 본격적으로 작동하기 시작하고 향촌 공동제의 지도층이 1·1 110 II. 경기도독립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