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page

만, 이들의 현실 인식에 대한 식견의 부족과 주체성의 결여로 -볼 수 있지 않을 까. 이것은 이들의 사회 -경제적인 배경이 구체적으로 밝혀져야 그 전모가 더 욱 명확하게 규명웰 것이지만, 생활의 근거지를 獅村에 두고 있었던 이들로서 는 어쩌면 그러한 환경의 영향으로 그들의 지도역량이 한계를 지니게 마련이 었을 것이다. 즉 현실사회의 모순 현상은 지적할 수 있었으나 모순을 타파하 기 위해 구체적으뚱 가장 현실적인 지도원리를 지역의 여건과 부합시킬 수 없 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붕괴되어 가는 봉건제의 제모순을 타파하고 새로운 사회로의 진행을 깊게 인식하지 못하고 오히려 미봉적인 시책으로 체제 안정 의 유지에 급급한 것이다 이들은 경제체제인 봉건제를 부정히지 않았으며 실 제로 그렇게 행동따지도 않았다. 그만큼 이들의 사회적 성격은 봉건체제안에 서 안주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사실은 운동의 진행과정에서 주도충 이 실질적으로 아푸런 역할을 수행하지 못했음에도 드러났다 앓~峰起의 발생에서 사후 처리의 과정은 정부의 의도가 무엇이었는 지를 엿볼 수 있다. 농맨봉기 발생 소식을 접한 정부는 訓令을 내리어 먼저 민심의 수습책에 급급하였다. 우선 聚會의 주모자로 지목된 成禹優 둥의 집강을 구속 하여 민란발생의 섹접적인 동기였던 작폐를 일삼았던 前劉長 이회복, 前首휩 記 이종렬 퉁 이서 배를 구속하였다. 그리고 조사관을 파견하여 조사 심문하고 주모자를 처벌하는- 정도로 무마시켰다. 이러한 구태의연한 농-민봉기에 대한 수습책은 실효성을 거의 거둘 수 없음이 주지의 사실이다. 최소한 정부가 봉 건제의 모순을 개선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었다면 행정의 책임 소재를 분명하 게 가려서 전임군수에게 재직시 범법행위에 대해 그 책임을 물어 구속하고 축 재한 재산을 환원시킴으로써 始興那民에게 새로운 관가의 기풍을 보여 주어 야했을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第--次 始興農民rt逢l월는 새로운 이념의 창출이나 2. 농민붕기의성척 • 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