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page

26 제주지역 항일독립운동사적지의 활용방안 부분 변형되거나 멸실된 상태에 놓여 있다. 따라서 더 늦기 전에 해당 위치에 표지석이나 안내판을 설치해 이들을 기억했으면 한다. 사적지의 멸실과 방치는 국가를 위해 목숨을 바치셨던 항일독립운동가들에게 후손들이 보여줄 자세는 아 니다. 3. 제주지역 항일독립운동 유공자 분석 항일독립유공자들을 살펴보는 것은 사적지의 출현배경을 이해하기 위함이다 . 이들이 전개했던 제주지역 항일운동의 흐름을 심옥주(2013)는 제주항일독립운동 사(제주도, 1996)와 제주항일인사실기(김찬흡, 2005)를 토대로 한국민족운동사 의 관점에서 <표 3>과 같이 제시했다. <표 3> 제주지역 항일독립운동의 전개양상 시기별 항일독립운동 항일독립운동 전개양상 ① 의병운동과 외부지 식인의 입도 (1910년대) ·목민관과 어사, 유배지식인의 영향 ·최익현과 김윤식, 박영효로 이어지는 지식인의 사상전파는 제주 유림의 교학활동과 제주의병, 비밀결사체인 집의계(集義契)의 결 성에 영향 ·1918년 법정사 항일운동과 1919년 제주 3·1운동처럼 제주인의 항일운동에 주요한 정신적 원동력 ② 제주 신교육운동과 사회주의사상 운동 (1920년대) ·개화사상, 신교육운동, 문화운동, 사회주의 운동 등장 ·제주의 신교육운동은 박영효를 비롯한 개화지식인이 주도 ·사회주의계열 운동 : 잡지 新生活창간(1922), 신인회 조직 (1925), 신간회 제주지부 결성(1928) ·제주지역 사회주의 사상운동은 일본 내의 사회주의 사상과 제주 인의 노동진출이 결합된 부산물 ③ 해녀항일운동과 제 주 야체이카 사건 (1930년대) ·해녀항일운동과 같은 대중적인 항일운동 전개 ·제주도해녀조합이 1920년에 창설된 후 일본의 식민지화 과정에서 제주여성들은 생존권확보 차원에서 항일운동 전개 ·제주 야체이카 사건은 제주인이 중심이 된 사회주의 대중운동으 로 제주청년동맹과 제주혈우동맹 등과 연결 ④ 종교·노동·사상운 동의 외부확산 (1940년대) ·전 지역의 항일운동화로 참여계층이 확대되며, 기존의 항일의식 이 종교와 결합 : 무륵대도교 사건(1936), 미륵교 사건(1938), 천주 교 사건(1941) ·교육기관의 수가 증가하고 정연한 교육체계가 갖추어지면서 일반 인에서 청년운동으로 항일주도세력 확대 ·1941년 제주농업학교의‘조선독립만세낙서사건’은 학생들이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