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page

114 여성독립운동사 자료총서 (3·1운동 편) 주도하였는가에 대해 두 가지의 설이 있다. 만약 이살눔이 중앙에서 「독립선언서」를 가지고 왔다면 군하리의 만세운동은 중앙과 연계하여 전개된 것이다. 이는 이살눔이 경성예수학교 학생이었으므로 이살눔이 개신교 계통의 연락과 지시를 받고 자신의 고향에서 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는 것이다. 따라서 김포군의 3·1운동이 일정하게 개신교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3월 22일 대곶면 초원지리에서도 정인섭(丁寅燮)이 먹으로 쓴 ‘독립만세’ 깃발과 태극기를 들고 동리 시장에서 독립만세를 불렀다. 장꾼들이 모여 들어 300여 명의 시위대가 형성되었고 주재소와 면사무소 등지로 나아가며 독립만세를 불렀다. 주도자의 한 사람인 임철모는 고문을 받고 서대문감옥에 갇혀 그곳에서 식음을 전폐하고 일제에 항거하다 5월 10일 서대문감옥에서 순사하였다. 3월 28일 조남윤(趙南潤)이 “29일 오전 11시 통진 읍에 모여 조선독립만세를 부른다”는 통문 7통을 작성하여 동리에 돌렸다. 다음날 오전 11시 통진 읍내에 400여 명의 주민이 모였다. 시위대는 향교와 면사무소 앞에서 독립만세를 불렀고 일제경찰이 압박을 가해오자 이 날 밤 수십 명과 함께 인근의 함방산에 올라가 횃불을 올리며 조선독립만세를 불렀다. 3월 29일 정오 갈산리·조강리 등에서 수백 명이 갈산리에 모여 최복석(崔復錫)을 선두로 통진 읍내로 들어가 향교 보통학교·면사무소 앞에서 독립만세를 부르며 시위를 하였다. 109 이후에도 이화학당 재학생 이경덕이 서울에서 3·1운동에 참여한 후 박용희·성태영·윤종근·조남윤·최복석 등과 함께 4월 5일 군하리에서 만세시위를 벌였다. 김포지역 3·1운동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시위가 평화적인 방법에 의하여 전개되었다가 일제의 탄압에 의해 점차 격렬하게 되었으나 수원이나 안성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주재소나 면사무소에 대한 폭력의 행사는 보이지 않았다. ② 오라리 장터 만세운동의 경우 박충서 등이 조직체계를 갖추어 책임을 부여하였다고는 하나 그것이 민중을 시위에 대대적으로 동원하려 했던 것이라기보다는 만세운동에 참가를 독려하는 수준이었다. ③ 경성의 지도부와의 연계 가능성이 보인다. 그것은 박충서나 이살눔이 경성제1고등보통학교와 경성예수학교의 학생이었고, 박충서는 3월 1일부터 경성에서 운동에 적극 참여하였고, 이살눔은 「독립선언서」를 가지고 김포에 와서 운동을 주도했다는 기록이 보이기 때문이다. ④ 운동의 주도세력이 지역사회의 유지 출신으로서 유식자였다. 109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5, 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1972, 31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