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page

1 부 경기도 지역 3·1운동의 연구 동향과 과제 35 3·1운동 실태조사보고서로서 일차적인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보고서에는 3·1 운동 참여자 사진, 3·1운동 관련 도면, 3·1운동 참여자 집터, 묘소, 3·1운동 기념 비, 기념탑, 항쟁지 등을 두루 실고 있어 이 분야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박환, 조규태는 『화성지역의 3·1운동과 항일영웅들』(2005) , 『화성출신 독립운동가들』 (2006)도 발행하였다. 이 가운데 후자에서는 화성출신 가운데 지 금까지 밝혀지지 않은 인물들과 더불어 사회주의자들도 포괄하고 있어 통일지 향적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안성지역 3·1운동 연구 동향 1919년 4월 1일 경기도 안성군 원곡면과 양성면에서 일어난 만세 운동은 농민 층이 주류가 되어 일어난 비폭력시위가 폭력시위로 전환되어 전개된 대표적인 것이었다. 이 시위는 주민 2,000여명이 궐기하여 주재소· 우편소·면사무소를 파괴 또는 방화하였고, 경부선 철도 차단을 기도하였으며, 일제의 탄압으로 24 명이 죽고 127명이 투옥되었으며, 일제에 의해 황해도 수안군 수안면의 시위, 평 안북도 의주군 옥상면의 시위와 더불어 전국 3대 실력항쟁의 하나로 꼽힌 점에 있어서도 그러하다. 안성지역에 대한 연구는 일찍이 이정은에 의하여 깊이 있게 연구되었다. 씨 는 「안성군 원곡·양성의 3·1운동」에서, 원곡·양성지역 3·1운동의 전개, 일제 의 대응, 주동인물의 피신, 원곡·양성의 3·1운동의 특징과 몇 가지 문제들에 천 착하여 안성지역 만세운동을 체계화하였다. 본 연구는 안성 원곡면·양성면 현 지 및 서울·천안·평택 등지의 유족과 당시 상황 목격자의 증언을 듣고, 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