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page

1 부 경기도 지역 3·1운동의 연구 동향과 과제 31 나 사실 송산면지역의 만세운동의 경우 3월말 1천 여명의 주민들이 참여한 가운 데 일어난 대대적인 만세시위로서 의미를 가질 뿐만 아니라 일본 순사부장을 살 해함으로써 평화적인 만세운동이 공격적인 성향을 지니는 단계의 운동으로서도 특별히 주목된다고 할 수 있다. 송산면의 3·1운동은 박환의 「경기도 화성 송산지역의 3·1운동」(2002년 3월, 화 성시주최 3·1운동 학술회의) 에 의하여 처음으로 이루어졌다. 씨는 논고에서 송산면 의 사회경제적 상황과 민족운동의 전통, 3·1운동의 전개과정, 주요구성원에 대 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구성원에서는 학력, 연령, 재산정도, 생활 상태, 종교 등에 대하여도 밝혀 보았다. 아울러 일본의 탄압과 송산면 3·1운동의 역사적 위상에 대하여 검토함으로써 이 지역의 3·1운동사를 체계화 하고자 하였다. 이어 송재준은 「화성시 송산면의 3·1운동」(『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2년 8월) 을 발표하였다. 씨는 현장답사와 후손 및 관련자 면담 등을 통하여 이 지역의 만세운동을 보다 깊이 있게 다루었으며, 특히 일제의 탄압과 주민피해 등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한편 정수억은 「화성 서신지역사연구-근대 민족운동과 관련하여-」(『수원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03년 6월) 에서 송산면과 접해 있는 서신지역의 3·1운동, 피해상황과 복구, 역사적 의의 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특히 3·1운동 관련 후손들을 면담하고 현장을 답사하여 지역사 연구를 한단계 높이는데 기여 하였다. 씨는 본고에서 서신지역의 3·1운동은 상안리 이원행, 전곡리 홍성휴, 이 재향 그리고 송교리 홍대규 등 유교적 지식인들이 3·1운동을 적극 주도하였다 고 밝히고 있다. 앞으로 송산, 우정, 장안 등 제암리 이외의 지역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