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9page

308 한권으로 읽는 경기도의 3·1운동 기도를 포함한 중부 5개도(충남·북, 강원, 황해)이 시위는 294회(69.2%)였다. 또 시 위 참여자를 보면, 기독교도, 천도교도 등 종교인이 주도한 것은 167회(39.3%)이 고, 학생과 보통민이 참여한 것은 60.7%이다. 이 시기 일제의 대응을 보면, 먼저 일본의 내각회의가 4월 1일부터 4일까지 열렸고, 회의 마지막 날인 4일 내각회의 결정을 내렸다. 그 내용은 일본군을 추 가 출병하기로 하고, 강압적 진압방침을 채택했다. 그리하여 보병 6개 대대, 헌 병 65명, 헌병보조원 350명을 파견키로 했다. 다음으로 일본 수상 하라는 조선총독부 정무총감 앞으로 조선총독부관제 개혁을 실행할 것을 지시했다. 지시 내용은, ‘문관제도로 고칠 것, 교육에 피아 동일한 방침을 취할 것, 헌병제도를 경찰제도로 할 것, 요컨대 내지의 연장으로 인정하여 조선을 동화할 것’이었다. 군대의 강경진압 명령에 따라 4월 1일부터 8일간 실탄 발포율이 높아져서 같은 기간 261곳 중 89회의 34%에 이르렀다. 또 경기도 일원에서 ‘시위 종식에 각별한 주의’에 따라 일본군과 헌병경찰이 경기도 수원·안성 일대에서 행한 ‘위압적 대검거’를 뜻하는 ‘수원사건 (4.2~4.16)’이 발생했다. 그리하여 같은 기간 ‘제암리 학살 (4.15)’이 일어났다. 다시 절정국면 경기 지역의 날짜별·지역별 3·1운동 발생 상황을 소개하 면, 다음 표와 같다. <표3-3> 절정국면 각군별·날짜별 시위횟수 구분 28 29 30 31 4.1 2 3 4 5 6 7 8 고양 0 부천 2 1 1 1 5 시흥 2 7 2 2 1 14 수원 1 4 1 6 1 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