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3page

232 한권으로 읽는 경기도의 3·1운동 폭로되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는 중요한 의미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여 론 환기도 일본의 한국 지배에 대한 미국의 근본적 자세를 변화시키지는 못했다. 제암리 학살사건의 역사적 의미와 연구방향 제암리 학살사건은 3·1운동 당시 한민족의 저항운동에 대한 일제의 대표적인 탄 압사례로서 널리 알려져 있다. 이점은 앞으로 보다 주목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 러 화성의 타 지역에서 전개되었던 만행에도 관심이 기울여져야 할 것이다. 일 제는 장안면 수촌리, 우정면 화수리, 송산면 등 화성의 다른 여러 지역에서도 주 민들을 살상하는 한편 집들을 전소시켰던 것이다. 화성지역의 전체적인 피해사 례와 더불어 제암리사건이 언급될 때 보다 입체적으로 만행의 실체가 복원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제암리 학살사건은 국내외에서 전개된 다른 피해사례와도 연관지어 검토될 필요가 있다. 1919년 중국 길림성 용정지역의 장암동 참변, 1920년 만주 지역에서 전개되었던 경신참변, 러시아 연해주지역에서 전개되었던 신한촌 참 변 등은 해외에서 일제가 자행한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이들과의 연관속에서 언 급될 때 일제의 탄압의 실상이 보다 총체적으로 언급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제암리 사건의 경우 그 대표성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자료의 수집 이나 연구는 아직도 초보적인 단계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입장에 따라 달리 서 술된 증언내용의 차이와 종교적 시각에서 바라보려는 입장의 차이 등은 이 분 야 연구를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앞으로 극복되어 나가야할 부분 들이 아닌가 한다. 넷째, 제암리 학살사건은 제암리와 고주리지역의 항일운동에 대한 일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