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page

20 한권으로 읽는 경기도의 3·1운동 있다. 그러나 3·1운동 전체 가운데 일부를 할애하여 언급하고 있는 정도이다. 수 원지방의 3·1운동연구는 홍석창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 씨는 「수원 지방의 3·1운동사』(왕도출판사, 1981)에서 수원지방 3·1운동의 원인, 3·1운동에 있 어서 수원지방의 위치, 3·1운동 주동자 김세환선생, 3·1운동과 선교사, 3·1운동과 33인, 각 지방의 중요 운동자, 각 지역의 운동상황, 3·1운동의 반향 등 현재의 수 원과 화성, 오산 일대에서 전개된 3·1운동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이 분야 연구 에 큰 기여를 하였다. 특히 수원의 김세환, 오산의 이성구, 태안의 황창오 등 여 러 인물에 대하여도 주목하고 있다. 아울러 씨는 『감리교회와 독립운동』 (에이멘, 1998)에서도 「수원지방의 3·1운 동」이라는 논고를 통하여 수원, 화성, 오산 등 식민지시대 수원군 지역의 만세운 동을 개괄적으로 정리하고 있다. 또한 『1893-1930 수원지방 교회사자료집』(에 이멘, 2001) 도 간행하여 기독교사적인 측면에서 수원지방 운동사를 살펴보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수원지역 기독교인들의 3·1운동 참여에 대하여는 김권정의 「수원지방 기독 교인들의 3·1운동 참여와 동향」(『수원지역 민족운동의 역사적 위상』, 2003년 2월)이 주 목된다. 여기서 씨는 수원지방 기독교인들의 3·1운동 참여배경과 그 전개과정, 3·1운동 이후의 동향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씨는 논고에서 수원지 방의 기독교인들이 3·1운동에 참여하게 된 조직적 배경에는 3·1운동 이전에 수 원지방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교회 조직과 젊은 학생층의 중심지인 기독교학교 의 조직력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파악하고 있다. 아울러 수원읍보다 장안, 우정, 향남면에서 적극적으로 전개되었다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고 보고 있다. 기독교인으로서 수원지역의 31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김세환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