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page

2 부 경기도 지역 3·1운동의 전개 201 둘째, 용인 지역의 3·1운동은 관내 전 지역에서 전개되었다. 수지, 기흥, 원 삼, 이동, 포곡, 외사, 내사 등이 이를 반증해 주고 있다. 특히 이들 가운데 외사, 내사, 양지 등의 3·1운동과 남사, 이동의 3·1운동, 수지, 읍삼(구성), 기흥 등지의 3·1운동은 상호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앞으로 용인지역내의 상호관계, 타 시 군과의 상호 관계에 대한 검토가 보다 깊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용인지역의 경우 유교, 천주교, 기독교 등과 일정한 연계를 갖고 있 다. 포곡면의 기독교, 남곡리의 천주교 등에 대하여는 보다 깊은 관심이 기울여 져야 할 것이다. 넷째, 1919년 당시 용인지역의 사회경제적 상황, 일본인의 진출정도 등 주 변 상황에 대한 검토 역시 보다 체계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이들 작업들이 선 행될 때 3·1운동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다섯째, 용인지역의 3·1운동이 보다 깊이 있게 연구되기 위해서는 주동자들 의 거주지, 인척관계, 학력, 만세항쟁지 등이 밝혀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용인지역 3·1운동 유적지 실태조사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