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page

1 부 경기도 지역 3·1운동의 연구 동향과 과제 13 유인물과 도시의 운동경험을 각 지역에 전파하거나, 선언서, 태극기, 독립만세기 등을 제작 배포하며 직접 시위대를 이끌어가는 등 선도적인 투쟁을 벌여나갔다. 특히 3월 하순 이후 농민들의 적극적 참가가 두드러지던 시기에는 농민 가 운데에서도 서당교육이나 계몽운동의 세례를 받은 향촌사회 내의 식자층, 유생 들이 실질적으로 운동을 조직하고 주도해 갔다. 민족적 자각과 반일의식이 고조 되어 있던 이들은 통일적인 지도이념이나 지도조직이 부재한 상태에서 전국의 시위운동, 민족대표들의 독립선언, 고종 인산일因山日에의 참석 등에 영향받아 이전의 운동경험에 기초한 자신들의 운동방법으로 운동을 조직해 갔다. 여기에 서 주목되는 것은 3월 하순 이후 운동이 마을에서 마을로 들불처럼 확산되는 데 에는 향촌사회 전래의 리 里 체계가 활용되었고, 이에 비례하여 이장(구장)들의 역 할이 현실적으로 크게 작용하였다는 것이다. 종교적, 이념적 지도조직체계 없이 농민을 동원하여 운동을 조직하는 데에는 마을 공동행동의 단위인 리와 그 대표 자인 구장의 역할이 크게 활용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경기지방의 운동이 전 지역적으로 통일적인 지도세력 없이 분산적으로 전개되기는 하였지만 지역 단위로 가능한 수준에서 운동의 조직화 가 모색되었고, 각 지역운동 주도자들의 조직적인 준비와 적극적인 참여는 운동 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경기지방의 애국적인 민중들은 각기 그 위치와 역할에 따라 여러 형태의 투쟁을 전개하였다. 지식인, 청년 학생들은 선전, 선동을 통한 운동의 고취와 선 도적인 투쟁으로서, 대다수의 농민들은 대규모의 만세시위운동을 통해, 노동자, 중소상인들은 파업과 철시투쟁 등을 통해 각기 일제로부터의 독립을 쟁취하고 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