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page

9 다. 아울러 안성지역의 경우 3·1운동 3대 항쟁지로 꼽힐 정도로 널리 알려진 사 례이긴 하나 그 구체적인 실체가 올바로 조망되어 있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새 로이 발굴된 사료들과 도면들을 통하여 그 진실에 접근하고자 한다. 본서에서는 우선 제1부에서 경기도 지역 3·1운동의 연구 동향과 과제에 대 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이 지역에 대한 연구가 그 중요성에도 불 구하고 개척적인 단계임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는 제2부에서 경기 도 지역 3·1운동을 19개 지역(당시의 경성부·인천부·강화군 제외)별로 나눠서 개관해 보고, 다시 사례로서 수원, 안성, 용인, 여주 등 경기도의 주요 3·1운동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제3부에서는 주요 인물들의 3·1운동 판결문 자료집을 날짜 별 지역별로 재배치하여 경기도 3·1운동을 보다 심층적이고 입체적으로 알아보 고자 한다. 끝으로 3·1운동 100주년을 맞이하여 이 책의 간행을 위해 물심양면으로 도 와주신 경기문화재단에 깊은 감사를 드린다. 2019. 2. 박환, 최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