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page

개되었다는 점에서, 그리고 이 기간 동안의 운동이 농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에 의해 주도되 었다는점에서 3·1운동의 민중운동적 성격을전형적으로보여주었다. (2) 운동의 조직 과정과 주도계충 한면 3월 하순부터 4월 상순에는 농민의 적극적인 참가 비율이 확산되어 이 기간 전체 피 기소자의 90.8%를 차지할 정도였다. 그러나 횡t촌 사회내에서 운동을 주도해 간 농민들은 대개 구래의 유교나 애국계몽운동의 세례를 받은 횡t촌사회내의 지식인 부류였다. 시위운동 의 적극적 참가자들의 재판기록을 보면 기독교도나 천도교도들은 반드시 표시를 하고 있으 나 유생들은 따로 표시하지 않고 있는데 이것은 대개 그들이 농업을 경영하고 있었기 때문 이다. 따라서 농업종사자로 표시된 자들의 대부분은 어느 정도의 유교적 소양을 가진 계층 들로 볼 수 있다. 이들은 앞서 살핀 바와 같이 향혼지식인들의 주요 근거지의 하나였던 향 교가 일제강점을 전후로 와해되고 지역에서의 지위가 위축되어감에 따라 이에 대한 반감이 팽배해있었다. 물론 이들 가운데에는 일찍이 교육계몽운동의 수혜를 받거나, 직접 참여한 사람들도 있었다. 이들은 특정 종교와 관련이 없고 독립선언서 조선독립신문 등을 개별적 으로 엽수하여 등사 · 배포하거나 자체 격문 등을 제작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들은 비록 조 직화되어 있지 못했지만 격문을 제작하고 등사판을 사용할 수 있는 정도의 지식과 소양을 갖춘향촌사회의 지식층이었다고보여진다. 한면 농촌에서는 운동이 실현되는 과정에서 이장(里長)의 역할이 크게 작용하였다. 이들 은 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마을의 동리민들을 동원하고 이를 위한 사전 연락을 하는데 중요 한역할을하였다. 이장들은 조선 각지의 시위운동 소식을 전해 듣고 자기 동리에서도 동리민들을 규합하여 면사무소 앞에서 시위운동을 하기도 하고 동네 산에 올라가 봉화를 올려 마을 단위의 운동 을 촉발하였다. 이장은 전통적으로 면리제(面里制)의 전통 하에서 마을 단위 공동행동의 대 표자로서 말단 설무를 관장하거나 마을의 여론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별다른 종교적 · 이념적 조직 지도체계가 없이 농민을 동원하여 운동을 조직하기 위해서는 리 (里) 조직과 이장의 역할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었다. 안산지역의 예만 보더라도, 시흥군 군자연 징L곡리의 서당생도권희( 權熺) 등은 ‘비밀통고(秘密通告)’라는사발통문을제작하여 이장 이덕증(李德增)에게 보냈으며 구(이)장들은 동리의 유식자나 청년들과 협의하고 동리 사 환을시쳐 시위운동의 계획을 동리민들에게 알려거나 격문을 이장 집 앞에 붙여 동리민들이 회람할수 있도록하였다. 독자적인 농민운동의 조직체계와 지도이념이 확립되지 못한조건 I 안산지역의 독립훈풍 I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