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page

2018년12월31일 월요일 12 (제144호) 기획 지난달29일부터이달5일까지‘호남사람과시문학의종정눌재박상선생의절의정신과삶’의주제로지역의 서예가들이선생이남긴1200여수의 시 문 에선문한전서,예서,해서,행서,초서등서예5체로쓴작품과,전각,문인화등120여점을선보면서선생의시 문과사상이새롭게조명받고있다. 선생은 혼정(混政)과 난치(難治)가 거듭하던 연산조를 거쳐 지식인들의 세력쟁탈과 모함으로 살육(殺戮)과 희 생(犧牲)이 극심했던 사화기(士禍期)에 살 아온시인(詩人)이자문장가이다.평소중국의백이숙제의지조를기리고세속과타협을거부하던굴원(屈原 )의삶을찬양하던선비였으므로당시세태 를보는선생의눈은평범하지아니하였다.연산때의무오사화와갑자사화로부터중종의기묘사화와신사옥 사로이어지는시대적환난기에처한선생 은사림이당하는울분과통한을참지못하고뜻을같이하는선비들과시대를걱정하는작시(作詩)를통해험 한사회상을반영하고이를비판하기도하 였다.그리고이과정에서도신비복위의소는사대부의보편적인륜(人倫)논리를왕실에서도지켜져야할것 이라고표출시킨의리사상을담고있어후 세의유자(儒者)들에게선구자적위상을갖게하였다. 본보에서는 2011년 1월호에서 ‘기묘완인(己卯完人)으로 당대의 문장가 눌재 박상(朴 祥)선생’을 소개한바 있 으나 최근 우리사회에는 눈앞의 이 익 에 따 라배신과반목을밥먹듯하는세상으로변하면서선생의의리사상과청백리정신이주목받고있어서예전에 맞추어박명희박사님께서쓰신약전‘눌 재訥齋박상朴祥,옳은길을걷고자한의리실천가’을소개해본다. 박명희박사는문학을전공한전남대학교교수로'박상의생각,한시로읽다'출간하는등눌재선생의시문학을 다년간연구해왔다. 박상(1474~1530)의 자는 창세(昌世)이고, 호 는 눌재(訥齋)이며, 본관은 충주(忠州)이다. 광 주의 방하동(芳荷洞)에서 아버지 지흥(智興)과 어머니 계성 서씨(桂城徐氏)사이에서 둘째로 태 어났다. 방하동은 현 광주광역시 서구 서창동 절 골마을로불리우는곳이다. 박상은 어린 시절에 아버지로부터 엄격한 가정 교육을 받았는데, 15세 때 아버지가 세상을 떴다. 박상에게는 7세 연상의 형 정(禎)과 2세 연하의 동생 우(祐)가 있는데, 아버지가 없는 상황에서 서로 의지해야 하는 상황이 된 것이다. 특히, 형 정은 실력과 인품을 갖춘 인물로 박상과 박우, 두 동생을 살뜰히 보살폈다. 두 동생들도 형을 잘 따 르고 받들어 학문 탐구에 정진하니, 학문이 나날 이 이루어졌다. 그래서 사람들이 송나라에 ‘부자 삼소(父子三蘇, 소순븡소식븡소철)’가 있다면, 우 리나라에는 ‘형제삼박(兄弟三朴)’이 있다라고 하 였 다 . 그 러 나 박 정 은 그 의 나 이 3 2 세 때 세 상 을 떴 다.이때박상의나이는25세였다. 박상은 23세에 생원시에 합격한 뒤에 28세 때 대과에 합격한다. 이리하여 교서관 정자(校書館 正字)를 거쳐 박사(博士)에 부임한다. 30세에 병 조 좌랑, 32세에 전라 도사, 33세에 장흥고 영(長 興庫令)이 되었다가 곧바로 사간원 헌납(司諫院 獻納)이 되는 등 내외직을 두루 거친다. 그러나 3 0대 중반 이후부터 어머니를 봉양한다는 이유 또 는 권세가들이 꺼리는 존재가 되어 주로 외직으 로 나가거나 순탄치 않았다. 박상이 나간 외직은 32세 때 전라 도사,33세 때 장흥고 영,35세 때 임 피 현령,39세때 담양부사,44세 때순천 부사,48 세 때 상 주 목 사 와 충 주 목 사 , 5 4 세 때 나 주 목 사 등이다. 이 중에서 임피 현령과 순천 부사는 어머 니를 봉양한다는 이유를 들어 스스로 나갔고, 그 외에는임명되어나갔다. 박상은 내직에 있을 때에 공직자의 책무를 다 하려 했는데, 이러한 성격은 외직에서도 마찬가 지였다. 〈연보〉 35세 조 임피 현령에 나갔을 때의 기록 내용을 보면,“공사에 청렴하고 명철하게 결 단을 내려 억울하고 밀려오는 일을 없애기에 힘 써 3년 만에 좋은 행정을 이룩하였다.”라고 하였 다. 또한 48세 조 상주 목사에 나가게 되었을 때, “선생은 스스로 생각하기를,‘외롭고 위태로운 발 자취로 지척지척 큰길을 다니는 것은 강물에 뜬 나무가 동서로 둥실거리는 것 같다.’라고 하였다. 그래서 더욱 중앙에 있기를 싫어하여 외직으로 나가기를 원하였고, 조정 역시 그가 떠나가는 것 을 아까워하지 않았다.”라고 하였다.이러한 기록 을 통해 박상은 외직으로 나가는 것을 오히려 스 스로 원하였고, 어디에서 벼슬살이를 하든지 청 렴하고 일을 합리적으로 처리했음을 알 수 있 다 . 39세 담양 부사 시절과 50세 충주 목사 시절에 청 렴성을 인정받아 청백리에 녹선된 사실은 알리는 바가크다. 박상은 다양한 부류의 인사들과 교유하였다. 이러한 인사들을 박상을 기준으로 분류해보면, 첫째 문인 제자들,둘째 〈청복고비신씨소(請復故 妃愼氏疏)〉와 관련된 사람, 셋째 기묘사화와 관 련된 사람, 넷째 불승, 다섯째 중국와 일본 등의 외국 사신 및 외국 불승, 여섯째 그 외의 중요 문 인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첫째,문인 제자들로는 임억령(林億齡)븡송순(宋純)븡정만종(鄭萬鍾) 등 을 들 수 있고, 둘째 〈청복고비신씨소〉와 관련된 사람으로는 김정(金淨)븡유옥(柳沃)이 있다. 셋 째, 기묘사화와 관련된 사람으로는 김안국(金安 國)븡한충(韓忠)븡이자(李 츤)븡김세필(金世弼)븡송 흠(宋欽)븡윤구(尹衢)븡유성춘(柳成春)븡고운(高 雲)븡신잠(申潛) 등을 들 수 있고, 넷째 불승으로 는 각경(覺烱)븡건옹 상인(健翁上人)븡경(烱)븡경 정( 궝晶)븡계안(戒安)븡덕재(德載)븡도림 상인(道 林上人)븡벽사 장로( 뷜寺長老)등 다수 있다.다섯 째,중국과 일본 등의 외국 사신 및 외국 불승으로 는 당고(唐皐)븡사도(史道)븡수추(守秋)븡역창(易 窓)븡요(堯)븡원강(元康)븡축장(竺藏) 등이 있고, 여섯째, 이상에서 거론하지 않았으나 중요 문인 들로는 조신(曺伸)븡정사룡(鄭士龍)븡소세량(蘇 世良)븡소세양(蘇世讓)븡김인후(金麟厚)븡기진(奇 進)븡송세림(宋世琳)븡채소권(蔡紹權)등이 있다. 박상은 평소 의리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이를 몸소 실천해 옮겼다. 박상이 의리를 실천한 사례 는 크 게 네 가 지 가 있 다 . 첫째, 32세 전라 도사 시절에 나주의 천민 우부 리(牛夫里)를 처단한 사건을 들 수 있다. 우부리 는 나주에 살던 천민인데, 그의 딸이 궁인이 되어 연산군의 총애를 입었다. 우부리는 이를 빌미로 온갖 나쁜 짓을 자행하였다. 그런데도 조야(朝 野)에서는 임금의 총애를 받는 궁인의 아버지이 기 때문에 아무도 저지하지 않았다. 그러나 박상 은 달랐다. 전라 도사로서 우부리의 횡포를 보다 못하여 잡아다 나주에 있는 금성관(錦城館)에서 장살(杖殺)하였다. 박상은 우부리를 장살한 뒤에 임금 연산군의 처벌을 피할 수 없다 생각하고, 명 을 기다리기 위해 한양으로 가기 위해 길을 나섰 다. 연산군도 우부리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박 상을 즉시 잡아오도록 금오랑(金吾郞)을 보냈으 나 둘은 길이 어긋나 만나지 못하였다. 그러던 중 에 중종반정이 일어나 결국 박상은 처벌을 피할 수 있었다. 우부리 장살 사건은 박상이 불의한 모 습을 얼마나 싫어하는지를 보여준 일대 사건으로 남아있다. 둘째, 박상은 부당한 인사(人事)가 있을 경우 에 항의하였다. 우선 정난공신(定難功臣)의 책 훈과 관련한 항의를 들 수 있다. 정난공신은 150 7년(중종2) 8월에 일어난 이과(李顆)의 역모사 건의 적발과 처리에 공이 있는 사람들에게 내린 공 신의 호이다. 이로 인하여 당시 21명이 모두 책록 되었는데,박상을 비롯한 대간들은 이는 지 나치다며 항의하였다. 그러나 중종은 이를 받아 들이지 않았다. 그 다음, 박상은 그의 나이 34세 때 고관(考官)이 제수되었으나 왕의 외척 중에 자품(資品)을 뛰어넘어 당상(堂上)에 오른 사 람이 있어 직책을 다하지 못했다 하여 사퇴한 적 이 있다. 이 일로 인해 중종은 역명(逆命)했다 하여 의금부에 하옥하도록 명령을 내렸다. 그러 자 대간븡홍문관븡육조븡의정부 대신들의 구원 상 소가 빗발쳤다. 중종도 대신들의 구원 상소가 이 어지자 며칠 뒤에 박상 등을 석방하라는 명령을 내려 사건은 일단락되었다. 그러나 박상은 의금 부에서 나온 뒤에도 인사 문제와 관련하여 불의 한 일이 있으면, 기탄없는 비판을 아끼지 않았 다. 이와 같이 평소 불의에 맞선 과감한 실천 의 지 때문에 관직 생활도 순탄치 않는 등 불이익을 받았다. 셋째, 박상은 그의 나이 42세 담양 부사를 지 내던 중에 순창 군수 김정과 함께 연명으로 〈청 복고비신씨소〉를 올렸다.신씨(愼氏)는 신비(愼 妃)라고도 하는데, 중종이 반정에 오르기 이전 진성대군(晉城大君) 시절에 맞이한 첫 번째 부 인을 말한다. 신비의 아버지는 신수근(愼守勤) 인데, 연산군과는 처남븡매부 사이이고, 중종에 게는 장인이다. 따라서 반정이 일어났을 때 어떻 게 처신을 해야 할지 고민을 했을 것이다. 결국 반정에 적극 가담을 하지 않아 이로 인해 죽임을 당한다. 반정공신들은 진성대군을 왕으로 옹립 한 뒤에 훗날 왕비의 부친을 살해했다는 해를 입 을까 두려워 신비를 폐출하도록 강요한다. 이로 써 신 비 는 왕 비 에 오 른 지 며 칠 만 에 사 가 ( 私 家 ) 로 내쫓김을 당한다. 그리고 뒤이어 윤여필(尹 汝弼)의 딸을 새 왕비로 맞이한다. 중종이 왕위 에 오른 지 10년 만에 왕비는 아들을 낳아 원자 (元子)로 책봉을 받았으나 불행하게도 왕자를 출생한 7일 만에 세상을 뜬다.따라서 또 다시 왕 비 자리가 공석이 된 것이다. 왕비가 죽자 여러 후궁들은 자신들의 의견을 관철시키려 혈안이 되어 있었다. 그러던 와중에 좋지 않은 날씨로 인해 흉년이 드는 등 백성들의 삶이 피폐해져갔 다. 중종은 고육지책으로 직언을 구한다는 교를 내려 여러 사람들의 의견을 듣고자 하였다. 박상 은 임 금 께 직 언 을 할 수 있 는 좋 은 기회라고 생 각하고, 김정 등과 함께 연명으로 신씨를 왕비로 복위시키자는 상소문을 올린다. 상소문의 요지 는 첫째, 비어있는 왕비 자리를 하루 빨리 메워 불안한 왕실을 안정시키고, 둘째 신비를 복위시 켜 잘못을 바로 잡으며, 셋째 신비를 내쫓았던 반정공신들의 죄를 논하여 엄벌에 처하라는 것 이었다. 상소문이 올라가자 대간에서 찬반 의견 이 빗발쳤다. 중종은 상소문의 내용을 받아들이 지 않았고, 결국 박상은 남평으로, 김정은 보은 으로 유배 갈 것을 명한다. 유배 간 뒤에 대신 및 간원들이 박상 등을 석방하여 언로를 넓혀야 한 다고 주장하여 이듬해 3월에 사면되어 직첩을 돌려받고 일은 일단락된다. 이 일은 의리정신을 실천한 일대 사건으로 1519년에 일어난 기묘사 화로 발전했다는 평가를 받기도한다. 넷째, 기묘사화가 일어났을 때 박상은 어머니 의 상을 치르던 중이어서 화를 직접 입지 않았다. 그러나 사화가 끝나고 나서 벼슬이 주어졌으나 모두 나가지 않았다. 그러나 박상은 훗날 ‘기묘완 인(己卯完人)’이라 불리게 되었다. 기묘완인은 기묘사화 때 죽음을 당하지 않았으나 그 지조나 취향이 기묘명현과 일치한다고 평가되는 사람들 을 지칭한다. 박상은 자신은 화를 비켜갔지만, 죽 음에 이르거나 관직이 삭탈된 사람들을 보면서 늘 미안한 마음이 들었을 것이다. 그래서 직접 화 를 당한 사람들을 보면, 가슴 아파하고 인정을 베 풀어 물질적인 도움까지 주었다. 이를 실천한 모 습은 충주 목사 시절을 통해 볼 수 있다. 당시 조 광조의 처벌을 반대하다가 유배를 갔던 김세필이 충주에 살고 있었고, 파직되었던 김안국이 이웃 고을 이천에 살고 있었다. 박상은 공무를 보는 틈 틈이 김세필이 지은 공자당(工字堂)에서 이들을 만나 학문을 논의하였다. 또한 피화인인 이자, 김 연경 등을 보살피는 데도 전력을 다하였다. 이를 통해 박상의 의리실천은 곧, 인정에 바탕을 두고 있음을알수있다. 박상은 평소 학문에 대한 뜻을 독실하게 하였 다. 〈연보〉 43세 조의 기록을 보면, 승려 해공 상 인(解空上人)과 무극설(無極說)에 대해 논변하 는 내용이 있다. 또한 48세 조의 기록을 보면, 박 상이 충주 목사 시절에 김세필, 김안국과 함께 왕 양명(王陽明)의 ≪전습록(傳習錄)≫에 대해 이 야기를 나누었다는 내용이 있다. 박상은 여기에 서 ≪전습록≫을 선학(禪學)이라 지목하며, 자신 의소신을뚜렷이하여변박(辨駁)한다. 박상은 620제 1,200여 수에 이르는 한시 작품을 남겼다. 이들 작품은 여러 가지 내용을 갖추었는 데, 대략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첫째,가 족에 대한 추억과 사랑을 담았다. 그 대표적인 작 품으로 〈의자도부(擬自悼賦)〉를 들 수 있다. 이 작품은 박상 자신이 슬픈 일들을 겪은 사실을 담 담히 서술한 것으로 읽는 이로 하여금 눈물짓게 한다. 박상이 지닌 감수성이 어느 정도인지를 보 여준 작품이라 하겠다.둘째,박상은 시를 통해 많 은 사람들과 교유한 사실을 알렸다. 박상은 심지 어 일본의 승려들과도 교유하며 의견을 나누어 소통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를 통해 박상은 사상 과 국경을 추월하여 다양한 사람들과 의견을 주 고받았다는 알 수 있다.셋째,박상은 주변에 있는 물상을 관찰한 뒤에 이를 시로 읊기도 하였다. 사 소한 미물이지만 그냥 지나치지 않는 세심한 관 찰 력 을 알 수 있 는 대 목 이 다 . 넷 째 , 박 상 은 시 사 (時事)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불의한 일이 있으면, 과감히 맞서는 모습을 보였 다. 공직에 몸을 담고 있으면서 늘 백성들의 삶을 살폈는가 하면, 부조리한 측면이 있으면 개선하 려는 모습을 보였다.다섯째,박상은 시 작품을 통 해 후배들에게 학문을 독려하면서 소신을 분명히 하였다. 정조는 문치주의(文治主義)를 주장한 임금으 로 문학에 대한 조예가 깊었다. 따라서 다른 사람 의 문학 작품을 보는 안목도 탁월하여 이를 바탕 으로 이전 문인들의 문학 작품에 대한 소견을 말 하기도 하였다.그중에 박상을 가리켜 “여러 사람 의 장점을 겸비했다.”, “박상의 침울(沈鬱)함은 모두 성세(盛世)의 국풍(國風), 대아(大雅), 소 아(小雅)의 유풍(遺風)을 지니고 있다.”라는 극 찬을 하였다. 국풍, 대아, 소아 등의 말은 곧, ≪시 경(詩經)≫을 가리킨 것으로 다른 사람이 시를 창작할때표준으로삼아도된다는의미이다. 후대의 많은 사람들은 박상을 여러 가지 면에 서 평가하였다.그 중에 조광조(趙光祖),이황(李 滉),김인후(金麟厚), 허균(許筠) 등이 말한 것을 종합하면 다음 네 가지로 간추려진다. 첫째, 사람 의 됨됨이가 박학하고 옛 도를 좋아하며 재행(才 行)이 있었고,둘째 기묘년의 화를 예견하고 화복 에 얽혀들지 않았다. 셋째, 언론이 격렬하고 몸가 짐이 정숙하였고, 넷째 기개가 뛰어나고 큰 뜻을 품고있었다등이다. 문학박사박명희삼가적다 의리 사상을 실천하였던 눌재 박 상(訥齋 朴祥) 선조 유지를찾아븣 학정연우회전에 눌재 선생의 시문학과 절의정신을 배우려는 많은시민들이찾고있다. 눌재선생이태어난광주광역시서구서창동절골마을전경으로입구에신도비가있으며마을뒤재사봉산재와묘역이자리하고있 다. 눌재(訥齋)박상(朴祥), 옳은길을걷고자한 의리실천가 눌재선생영정 CMY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