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page

*흘君紀jb四千三百三十七年 ι西歲ìk. 十月 康j흐힘자 二十一 티 떠채1 O代孫、2 江I場劉校3 典敎4 'f훌5 敢B검몸手 顯O代파R考6 事務당 大I場굶흉7 府君 顯O代파R뻐8 夫λ9 全;'1、l李~10 츠基11 代序雖遠 遺澤尙新 護κA 歲葉 一쌀式薦aJJ禮 尙 瓚” 주 1,3,4,5,7,9,10은 기 일제사 축문을 참고해 사실대로 쓴다. 주 2의 ‘0대손’은 세일사대상과 봉사주인과의 대수를 쓴다. 주 6,8의 ‘0대’는 봉사주인을 기준으로 대수를 쓴다. 주 11의 ‘지묘’는 묘지에서 지내는 경우이므로 위패나 지방을 모시고 지 내는 때는 쓰지 않고 聚i遭(제단)을 설단하고 지낼 때는 ‘지단’이라 쓴다. 1-2) 세일사 축문 한문서식 @ “維 橋君紀元四千三百三十七年 ιi[歲ìk. 十月 f촬j흐헝R 二十一 티 퍼댔‘ O代孫、 江I場劉校 典敎 'f훌 敢B검쏟手 顯O代파R考 事務당 大I場굶흉 꺼품君 顯O代파묘뻐 夫λ 全9’l‘l李£ 츠훌 歲選一쌀 i훌有中制 優鉉箱露 커강i曾感 흙 등훌↓~ ~춤맴~J.핸、훌 펀£薦歲事 尙 響” (젠략) 세첸얼샤는 여1 륜에도 있야온바 이제 서라도 이마 내렸압가 그 려융 마음 더육 간젤하옴니다. 삼가 맑은 슐과 몇 가지 음식으로 歲事 (세샤)를 올라오니 흠향 하옴소서. 1부 제의례 I 45
47page

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