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6page

祝J及諸훨I‘事4탓就拜4호 皆再拜 축긍제정사유취배위 개채배 i兄댐橋 츠하도 카 님 「 掌贊率其屬*짧짙뿔댐 門降退 장찬솔 ~l 속첼 찬합윤강뢰 찬자는 초헌관을 음복위로 안내하고 초헌관은 서향하여 꿇어앉는다. 축이 준소로 나가 제상에서 제사에 쓰인 복주(福펌)를 내린다. 축이 헌관 의 왼쪽으로 나가 헌관에게 복주를 건넨다. 헌관이 술잔을 받아 음복을 한 뒤 축에게 건네면 축이 술잔을 점(해)에 올린다. 제의에 사용하는 술 잔을 작(뽑)이라 하며 잔 받침으로 사각형의 평평한 제기를 점이라 하는 데 주로 청동이나 구리로 만들며 축판을 올려놓을 때도 쓴다. 집사자가 신위전으로 가 조육을 내린다. 이를 헌관에게 건네면 헌관 이를 받들었 다가 다시 집사에게 건넨다. 집사는 제사에 쓰인 고기인 조육을 받고 동 쪽 계단으로 내려가 나간다. 축이 제례를 마치는 의미로 제기인 변과 두 를 치운다. 이를 마치면 헌관 급 학생이 모두 재배를 올린다. 찬자가 초헌 관을 망예위(望獲位)로 안내한다. 망예위를 망료위(望燈位)라고도 하는 데 여기서 ’예(塵)’는 묻는다는 의미를 ‘료(燈)’ 태운다는 의미를 갖는다. 축이 이곳에서 제사에 쓰인 축문과 폐백을 태워 묻는다. 찬자가 초헌관의 왼편에 서서 예필(禮題 예가 끝났음)을 고하면 헌관 급 학생이 모두 문 밖으로 나간다. 이번에는 축과 집사자들이 함께 배위에 나가 모두 재배를 올린다. 축이 위 패의 독을 닫으면 장찬이 제수를 철찬하고 문을 닫고 나 간다. 324 I 예악의 고장 합선의 제례문화
326page

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