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5page

酒)라고 한다. 또 술을 바닥에 조금씩 세 번 지운다고 해서 ‘삼제우지 (三 除子地)’라고도 한다. 본래는 땅의 신에게 올리는 의식이었지만, 오늘날 에는 퇴주기나 모사기에 술을 물리는 것을 의미하게 되었다. 제주는 헌관 이 올리는 술을 조상께서 세 번에 걸쳐 드시는 것을 의미한다. <초헌관이 재배하는 모습(왼쪽) 초헌관이 접성적을 올리는 모습(오른쪽) ) 제주가 끝나면 전작이 술잔을 받아 신위전에 올린다. 초헌관이 허리를 폈다 다시 꿇어앉으면 집사자가 비위전 잔반을 들어 헌관에게 건넨다. 헌 관이 잔반을 받아 사준이 따라준 술을 받는다. 사작이 헌관에 게 잔을 건 네면 사준이 술을 따르는 방식 인 『가례』 식 헌작법을 한다. 헌관은 이 를 받아 땅에 3번 기울인 후 전작에게 건네면 전작이 술잔을 신위전에 올 린다. 이를 마치면 집사자가 접성적(權盛쫓)을 시저 남쪽에 진설한다. 접 성적은 접시에 높이 쌓은 적을 의미한다. 헌관이 일어났다 부복하면 다른 참제자들도 함께 부복한다. 축관이 헌관 왼쪽으로 가서 동향을 하고 꿇어 앉아 축문을 읽는다. 축문 읽기를 다 마치면 참제자들이 모두 일어선다. 헌관은 조금 뒤로 물러나서 재배를 올린다. 집사자는 퇴춧그릇에 술을 붓 1부 제의례 I 183
185page

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