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1page

6 장 지방자치  실시  이후  안동의  행정 585 2편 행정 입지 기준 측정 지표 측 정 변 수 사회‧경제적 요인 (100.00) 지역통합성(35.02) ◦중심성(13.11) ◦접근성(21.91) 지역균형성(25.77) ◦국가적 균형(12.31) ◦지역적 균형(13.46) 지역발전성(24.03) ◦지역기반성(7.53) ◦파급효과성(8.71) ◦지역경쟁력(7.79) 지역상징성(15.18) ◦역사성(8.08) ◦문화성(7.10) 물리‧환경적 요인 (100.00) 자연환경성(31.31) ◦지형‧지세(15.79) ◦쾌적성(15.52) 수자원성(17.65) ◦수원확보성(10.04) ◦수원과거리(7.61) 토지확보성(25.92) ◦필요충분성(14.69) ◦확보용이성(11.23) 개발비용성(25.12) ◦토지보상가(8.85) ◦부지조성비(7.27) ◦기반시설비(9.00) 자료 : 경상북도의회‧동명기술공단, í��경상북도 신도청소재지 입지기준설정 및 후보지선정연구��, 1995. -사회‧경제적 요인과 물리‧환경적 요인간의 가중치=64.72:35.28 (괄호안의 수치는 가중치임). 표 13동명기술공단의 도청입지기준 및 가중치결정 로 하여금 도청이전에 관한 연구용역을 의뢰하여 1995년 2월 그 결과를 발표하였다. 동명기술공단에서는 도청입지기준 및 측정 변수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여 평가하였다. 입지기준을 크게 사회‧경제적 요인과 물리‧환경적 요인으로 나 누고, 사회‧경제적 요인의 측정지표는 지역통합성‧지역균형성‧지 역발전성‧지역상징성 등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물리‧환경적 요인 의 측정지표는 자연환경성‧수자원성‧토지확보성‧개발비용성 등으 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세부내용과 가중치는 [표 13]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