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5page

3 장 일제강점기  안동의  행정구역  변화 479 2편 행정 안동의 면협의회는 유권자가 겨우 160명에 지나지 않았고, 면협의 회원들은 대부분 지주부농이거나 부유한 상공업자들이었다. 이렇 게 매우 제한된 범위지만 안동의 조선인을 안동지역 행정에 끌어 들인 일제의 의도는 두 가지였다. 하나는 일제통치에 따르는 안 동지역의 인물로 구성하여 행정을 장악하려는 것이었고 다른 하 나는 안동지역의 유력자들을 회유하여 그들의 이익과 의견을 일 정하게 면 행정에 반영함으로써 안동지역의 전통적 정치욕구를 해소시키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통해 면장 중심의 간접통치의 기반을 강화하는 한편 대다수의 농민을 면 운영에 소외시킴으로 써 안동지역의 상층부를 포섭하여 아래로부터의 열기를 막아보 려는 분할통치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30) 안동은 전통적으로 토착세력이 강한 곳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동족집단이 광범위하게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족집 단은 전면적인 생활공동체로서, 안동지방의 경우 양반유림의 동 족집단이 타 지역에 비하여 유난히 많았다. 양반유림을 중심으로 형성된 동족마을은 그들에 의해 그 지역의 노동력을 동원할 수 있 는 유리한 마을이었다. 신분제를 폐지하였다고는 하지만 안동의 경우처럼 양반유림세가 강한 동족마을은 평민마을이나 농민에게 일상생활이나 마을의 집회‧계‧문회 등에서 영향력을 미쳤다.31) 30) 안동시사편집위원회, í��안동시사��, 안동시, 1999, 36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