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1page

10 장 민주화  이후의  안동의  정치 435 1편 정치 입증한다. 또한 문중 구도라 할지라도 12대 총선에서처럼 안동 특 유의 지조와 의기는 무조건적인 혈연 집착식 문중 투표가 아니라 나름의 도덕적 기준이 있음을 입증한 바 있다. 문중 위주의 투표가 당장 변화하기는 힘들다 하더라도, 여론 형성과 교육 측면에서 좀더 개방적이고 유연한 문화적 토양을 일구어갈 필요가 있다. 안동은 분명히 ‘정신문화의 수도’라는 자긍심을 가질 만한 역사적‧문화적 자산이 있기 때문이다. 유교문화에 존재하는 공의의 정신을 되살려, 오늘날 민주공화 국의 공의를 실현시키는 초석으로 삼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 를 위해서는 선거정치과정을 특정 가문의 사적 입신양명의 장으로 인식하는 사고를 버리고, 안동출신 명신들이 이룩한 조선 전성기의 품격 있는 유교문화가 남긴 교훈을 되살려야 할 것이다. 안동 명문 가의 조선조 명신들이 평상시에 국왕을 보필하고 백성을 위해 봉사 하며, 위기에는 국가를 위해 일신과 가족을 넘어 헌신하며 특유의 공인으로서의 노블리스 오블리주를 솔선수범한 예를 따라, 공의公義 를 세우고, 왕법王法(國法)에 친親이 있을 수 없다는 추상같은 사대 부의 원칙을 민주공화국인 대한민국에 부흥시켜야 한다. 이는 민 주공화국의 법치주의와 일맥상통하는 유교의 강직한 전통이자 안 동의 정신적 자산이다. 모두 같이 참여하는 민주주의의 원칙으로부터 출발하여 서로 관용하고 연대하면서 공공의 대의와 공익을 개인과 집안의 사익 에 앞서 존중하는 기풍을 진작시킨다면 국가와 국민에 앞서는 좁 은 지역주의, 공의를 앞지르는 좁은 혈연주의와 같은 사적 연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