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1page

9 장 민주화운동  시기의  안동정치 335 1편 정치 하게 한 후 관리를 정부 재원으로 충당하는 문화재 보호법을 실시 하였다. 당선 이후에도 이러한 작업이 이어져 도산서원, 병자호란 당시 끝까지 저항했던 김상헌을 기린 청원루, 의성김씨 종택, 하회 마을 풍산류씨 종가 등을 문화재로 지정하고 수시로 보수하였으며, 특히 í��징비록��의 저자인 서애의 유품을 따로 모은 영모각을 건립하 는 데 비용의 반 이상을 국가 재원으로 보조하여 무지막지한 ‘무인 정권’의 이미지를 벗고자 애썼다. 안동의 이러한 지역적 자긍심은 돌출적인 것이 아니었다. 일제 강점기 중앙선 철도 가설과정에서 철로가 학봉 김성일의 묘 가까이 계획되어 산소의 풍수를 해치며 지나가게 되자 의성김씨 문중과 인 근 안동 유림들이 조선총독부에 압력을 넣어 철로의 방향을 바꾸게 했던 것은 널리 알려진 일화이다. 1988년의 경우, 서후면 태장동 천둥산의 허리를 가로지르는 도 로 건설 계획이 발표되자 도로에 가까운 의성김씨 시조묘의 풍수 를 해친다는 이유로 다시 의성김씨 문중이 강력하게 반발하였다. 당시 관선 군수는 가문의 사적 이익을 내세워 ‘공공의 이익’을 무 시하는 집단이기주의로 비판하고 계획을 강행하려 했다. 그런데 인근 선산에 있던 풍산류씨‧안동권씨의 시조묘 또한 그렇게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안동 유림에 번져, 마침내 안동의 전체 유력 문중이 군수를 비판하고 중앙정부에 대해 항의를 하게 되어 결국 이 계획 은 변경되었다. 일제 강점기의 사례와 유사하기도 하지만, 이를 집단이기주의로 매도할 수만은 없다. 단지 묘를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가 아니라 그만큼 안동지역은 중앙정부의 획일적이고 일방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