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page

14 민주장정 100년, 광주·전남지역 사회운동 연구 많은 연구가 축적되었고, 최근에는 연구사정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24) 현재까지의 연구성과에 의해 의병이 일어난 정치적 배경에 관해서는 대체로 학계의 의견이 모아진 편이다. 또한 사회경제적 배경에 관해서도 점차 관심이 높아지는 중이다. 특히 의병전쟁의 전개과정과 활동에 관하여 집중적인 연구가 이루어짐으로써 대표적인 의병장의 사상이나 행적, 주요 의병부대의 활동이나 구성원의 특징 등이 구체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아울러 의병전쟁의 주도세력과 구성원의 신분이나 직업, 편제상의 특징 등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이 이루어진 편이다. 최근에는 일제의 의병탄압이나 의병의 전략과 전술 등과 같이 연구 범위가 점차 확산되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의병자료는 전혀 상반되거나 판이한 시각으로 서술된 경우가 많은 편이다. 예를 들면, ‘義兵’과 ‘暴徒’라는 명칭에서 가장 극명한 시각차를 보여준다. 따라서 상반된 자료를 정밀하게 비교 검토함으로써 실증적이면서도 객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물론 새로운 자료를 적극 발굴하는 노력도 게을리해서는 안될 것이다. 아울러 기존의 연구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론을 적극적으로 모색하지 않으면 안된다. 예컨대, 특정한 주제 중심의 접근방법이나, 지역간 비교연구 등이 그것이다. 또는 학문적·지리적으로 동일한 생활문화권을 형성한 지역 단위로 전개된 의병활동에 대한 분석도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당시 의병들은 학파를 배경으로 하거나, 道 단위의 행정구역을 중심으로 상호 긴밀한 연계망을 구축하거나, 공동전선을 시도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는 道의 境界를 넘나들며 일정한 거점을 확보한 후 인접 지역에서 활동하는 義陣들과의 연대를 강화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이러한 점에 착안한 새로운 연구성과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광주-전남의 의병항쟁을 구체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생활권과 문화적 특징을 같이하는 지역을 배경으로 일어난 의병항쟁에 초점을 맞추어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전라도 지역의 의병에 대한 중요성은 일찍부터 언급되어왔다. 白巖 朴殷植(1859∼1925)의 다음과 같은 평가가 그것이다. 대체로 각 도의 의병을 말한다면 전라도가 가장 많았는데, 아직까지 그 상세한 사실을 얻을 수 없 으니 후일을 기다려야 한다(박은식, 『한국독립운동지혈사』 ; 『박은식전서』 상, 472쪽). 박은식의 이러한 주장은 일제 당국의 통계를 통하여 입증된 바 있다. 아래의 [표]가 그것인데, 24) 대한제국기 의병전쟁에 대한 연구 성과와 동향을 정리한 대표적인 글은 아래와 같다. 金義煥, 「義兵戰爭과 愛國啓蒙運 動」, 『韓國史硏究入門』 제2판(지식산업사, 1987). 양상현, 「1894년 농민전쟁과 항일의병전쟁」, 『남북한 역사인식 비교 강의』(일송정, 1989). 金祥起, 「朝鮮末 義兵戰爭 硏究의 現況과 課題」, 『義兵戰爭硏究』 上(지식산업사, 1990). 하원호, 「부르조아민족운동의 발생·발전」, 『북한의 한국사인식』 Ⅱ(한길사, 1990). 고동환, 「개항이후 아래로부터의 변혁운동」, 『쟁점과 과제―민족해방운동사』(역사비평사, 1990). 李榮昊, 「한국근대 민족운동연구의 동향과 ‘국사’교과서 서술」, 『역 사교육』 47(1990). 姜吉遠, 「의병운동 연구」, 『한민족독립운동사』 12(국사편찬위원회, 1993). 김상기, 「義兵戰爭에 대 한 硏究成果와 課題」, 『韓國史論』 25(국사편찬위원회,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