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1page

403 이다. 2) 이 글에서는 지평의병의 사상적 배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초기 봉기과정에 대한 부분을 이미 널리 알려진 『從義錄』이나 『下沙安公乙未倡義事實』등의 자료는 물론, 최근에 발견 된 필자 미상의 『의병사시말』과 張忠植과 張益煥의 『日記』 등을 분석하여 복원하고자 한 다. 또한 단양의 장회협 전투와 그 전투 후 영월에서 류인석을 의병장으로 새로 추대하기 까지의 과정을 사실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2. 지평의병의 사상적 배경 지평의병은 화서 이항로의 문인들을 중심으로 봉기하였다. 따라서 지평의병은 화서학파 의 사상적 측면과 긴밀한 관계 속에서 봉기되었다고 볼 수 있다. 화서학파의 문인인 안승 우와 이춘영 등은 이념적으로 존화양이론에 철저하였으며, 이항로의 대표적인 외양책인 ‘義旅策’에 따라 민족존망의 위기에 김백선 등 지평의 의사들과 연합하여 의병을 봉기하 기에 이르렀다. 양평의 노문리 벽계 마을 출신인 李恒老는 부친 李晦章으로부터 가학을 계승하였다. 이 항로는 한편으로는 21살 때부터 지평의 李友信(?~1822, 호 竹村⦁文原⦁睡山, 자 益之, 본 德山)을 찾아가 수학하였다. 3) 이로써 이항로의 학맥은 이우신과의 관계를 통하여 그 연원이 송시열에까지 닿게 되었다. 이항로는 송시열을 주자와 동일선상에 놓고 존숭하였 다. 4) 그러나 이항로의 주자학적 우주관은 오히려 퇴계의 이기호발설을 받아들여 주리론적 경향을 띠고 있다. 5) 이러한 이항로의 주리론은 19세기 제국주의 세력의 침략에 직면해 있는 시대상황에서 민족의 보존논리로서 전개 발전되었다. 이러한 이항로의 강력한 척사 정신은 그의 제자들에게 계승되어 화서학파가 형성되었다. 이 화서학파에서 위정척사운동 과 의병투쟁을 주도한 다수의 인물이 등장하였다. 그의 이와 같은 실천적 위정척사론은 장담강회를 통하여 안승우 등 문인들에게도 이어져 지평의병의 형성에 정신적인 뒷받침이 2) 李東宇, 「義兵將 柳麟錫의 義兵運動考」『成大史林』2, 1977. 朴敏泳, 「毅菴 柳麟錫의 衛正斥邪運動」『淸溪史學』3, 1986. 兪炳勇, 「柳麟錫 堤川義兵戰爭의 制限的 性格과 歷史的 意義」『江原義兵抗爭史』, 1987. 金祥起, 『韓末義兵硏究』, 一潮閣, 1997. 具玩會, 『韓末의 堤川義兵』, 集文堂, 1997. 3)『朝鮮儒敎淵源圖』券下, 東文堂, 1941, 3~5쪽. 4) 李恒老『華西集』, 부록 권9, 연보. 5) 李恒老『華西雅言』, 券1, 形而第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