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page

246 / 청송의 독립운동사 구 분 논 소 작 율 밭 소 작 율 1920 1931 증감율 1920 1931 증감율 청 송 41% 58% 17% 28% 56% 23% 경 북 57% 56% - 1% 49% 52% 3% * 자료 : 大邱;慶尙北道, 慶尙北道農務統計 , 1920‧1931. 1) 소작료의 상승과 함께 청송지역에는 소작지 또한 늘어나고 있었다. 이는 소작료의 상승에 따른 결과로 추측된다. 다른 지역이 대체로 소작지가 줄 어들어드는 현상을 보이는데 비해 청송지역은 늘어나고 있다. 이는 1910년 대 주로 자작을 하던 농민들이 자신의 자작지를 소작지로 전환한데서 온 결과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소작율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1930년대 이후 농 산물 가격의 하락으로 소작농을 반납하는 사례들이 늘어갔다.97) [표-8] 청송군 소작지의 변화 구분 경 지 면 적(町) 자 작 지(町) 소 작 지(町) 계 논 밭 논 밭 논 밭 1917 10,082.1 (100%) 2,832.3 (28.1%) 7,249.8 (71.9%) 1,612.5 (56.9%) 5,374.5 (74.1%) 1,219.8 (43.1%) 1,878.3 (25.9%) 1931 10,082.1 (100%) 2,969.9 (28.1%) 7,260.6 (71.9%) 1,305.0 (44%) 3,246.4 (45%) 1,664.9 (56%) 4,014.2 (55%) * 자료 : 慶尙北道, 慶尙北道統計年報 , 1918, 218‧219쪽; 慶尙北道, 慶尙北道勢一斑 , 1931, 30‧34쪽. 당시 청송의 대표적 반촌이었던 덕천마을의 농가계층구조를 살펴보고자 한다. [표-8]은 1934년 덕천마을의 농가구성을 나타내는 표이다. 덕천마 을의 특징은 지주의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소작농의 비율 은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같은 시기 다른 지역의 반촌들과는 97)《東亞日報》1931년 12월 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