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5page

제4장 3·1운동 / 179 가 협조하지 않음에 따라 성공하지 못했다.7) 이들 국외의 활동은 독립을 열망하는 민족의 의사를 큰 함성으로 세계에 알려야 한다는 필요성에서 나온 것이었다. 그것이 바로 3‧1운동으로 나타난 것이다. 결국 3‧1운동은 1910년에 나라를 잃은 뒤, 독립의 기회를 엿보면서 힘 을 길러가고 있던 독립운동 세력에 의해 일어난 것으로 정리된다. 그것 도 제1차 세계대전의 종결이라는 상황을 독립의 계기로 삼으려는 의도에 서 비롯된 것임을 헤아릴 수 있다. 2. 3‧1운동의 발발 초기의 3‧1운동 계획은 종교계와 학생들에 의해 각기 추진되었다. 일제 가 한국 강점 직후 독립운동세력을 제거하기 위하여 정치성을 띤 모든 사회단체에 대해 강제해산 조치를 단행했기 때문에 그나마 조직과 단체를 유지할 수 있었던 세력으로는 사실상 종교계와 학생밖에 없었던 셈이다. 이들 국내 조직과 국외지역 독립운동자와 유학생의 구국 에너지가 한 군데 로 어울려 펼쳐진 항쟁이 바로 3‧1운동이었다. 천도교측의 손병희孫秉熙‧권동진權東鎭‧오세창吳世昌‧최린崔麟 등은 1919 년 1월 중순경 시위운동을 일으키기로 결의하고, 대중화‧일원화‧비폭력화의 3대 원칙을 수립하였다.8) 대중화와 일원화 원칙은 전 민족이 하나의 체계 로 민족운동에 나설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발전양상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더구나 서로 다른 종교단체가 민족문제 해결을 중시하고 민족적 양심 7) 國會圖書館 編, 「재미 한국인 鄭翰景의 여권발급 청구에 관해 1918년 12월 24 일 在紐育 총영사가 외무대신에게 전보한 요지」, 韓國民族運動史料 중국편, 7-8쪽. 8) 최린, 「자서전」,《한국사상》4, 한국사상연구회, 1962, 164쪽; 장효근일기 , 1918년 12월 15일;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조선 3‧1독립소요사건」, 독립 운동사자료집 6, 86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