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3page

제3장 1910년대의 독립운동 / 145 지 면적이 약 16,900정町인 것에 비교하면 청송군의 경지면적은 매우 적 은 편이다. 또한 청송군은 논면적이 28.1%, 밭면적이 71.9%로 밭면적이 훨씬 많은 밭농사지대로 경지소유현황이 매우 열악했음을 알 수 있다. 그 리고 자작지의 면적이 많은 것으로 보아 청송군민은 자작경영을 하고 있 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밭농사의 경우는 자작지의 비율이 74%로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표-4] 1917년 청송군의 경지면적 구분 경 지 면 적(町) 자 작 지(町) 소 작 지(町) 계 논 밭 논 밭 논 밭 청송 10,082.1 (100%) 2,832.3 (28.1%) 7,249.8 (71.9%) 1,612.5 (56.9%) 5,374.5 (74.1%) 1,219.8 (43.1%) 1,878.3 (25.9%) 경북 389,505.3 (100%) 187,547.1 (48.2%) 201,958.2 (51.8%) 83,396.3 (44.5%) 104.936.7 (52.0%) 104,150.8 (55.5%) 97,021.5 (48.0%) * 자료 : 慶尙北道, 慶尙北道統計年報 , 1918, 218‧219쪽. 이와 같은 여러 가지 사실을 종합해 볼 때 청송은 경북 북부지역의 대 표적인 전작지대로 경지면적이 매우 협소하였으며, 농가계층구조상으로는 자소작층이 많았고, 농업경경규모면에서는 주로 소규모 영세농에 해당된 다고 할 수 있다. 이는 1920년대 식민지 수탈정책이 본격적으로 전개되면 서 그만큼 청송지역의 농민층사이에서 차지경쟁借地競爭이 치열해지고, 생 활이 급격히 악화될 수 있음을 예견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현상이 동양 척식회사와 같은 일본인의 직접적인 침투보다는 일제의 통치정책에 따른 간접적 결과로 청송군민 내부에서 발생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일제강점기 토지소유 규모를 파악할 수 있는 토지조사부를 통해 청송군의 대표적 민촌民村인 청운리의 토지소유 실태를 살펴보았다. 청운 마을은 청송군에서 가장 넓은 들인 월구들을 끼고 있어 1910년대 토지소 유실태를 살펴보기에 매우 좋은 마을이다. [표-5]는 토지조사부에 기재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