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page

봉산면
38page

삼우재
38page

삼우재
38page

陜川郡(합천군) 黃梅山下(황매산하) 錦城村(금성촌)에 朴氏(박씨)가 世居(세거)한 곳에 우뚝한 晩翠齋(만취재)는 朴氏(박씨)들의 先祖(선조) 晩翠公(만취공)을 追慕(추모)하기 위하여 지은 齋室(재실)이다. 先祖(선조)는 密城人(밀성인)이며 高麗末(고려말)에 拙堂先生(졸당선생) 諱(휘) 聰(총)의 後孫(후손)이다. 拙堂先生(졸당선생)의 伯氏(백씨), 仲氏(중씨), 叔氏(숙씨)가 다같이 鄭圃隱先生(정포은선생)에게 배웠고 吉冶隱(길야은) 卞春亭(변춘정) 成獨谷(성독곡)과 道義(도의)로 사겼다. 太宗朝(태종조)에 進士(진사)에 合格(합격)하고 孝子(효자)로 戶曹正郞(호조정랑)이 되고 吏曹參判(이조참판)의 贈職(증직)을 받아 丹城(단성) 新溪書院(신계서원)에서 享祀(향사)를 드린다. 晩翠公(만취공)의 諱(휘)는 敏奎(민규)이다. 公(공)은 性品(성품)이 沈重(침중)하고 才操(재조)가 있어서 일찍 祖先(조선)의 傳統(전통)을 이어받아 名利(명리)를 몰아치고 孝友(효우)와 耕讀(경독)을 本業(본업)으로 삼으니 家庭(가정)이 和睦(화목)하며 사람들이 古家(고가)의 風貌(풍모)가 있다고 하였다. 自號(자호)를 晩翠(만취)라고 한 것은 松(송)의 歲寒(세한)에 더욱 푸르다는 뜻으로 취한 것이다. 卽(즉) 變(변)함이 大義(대의)와 持操(지조)를 지켜서 살아갈 것을 맹세한 것이니 공의 행의와 지조의 高尙(고상)함을 알 수 있다. 持操(지조)의 高尙(고상)한 것이 이와 같으면 祖先(조선)의 아름다운 傳統(전통)을 이어받고 後孫(후손)을 잘 가르쳐서 전할 것은 想定(상정)할 수 있다. 公(공)이 가신 지 百餘年(100여년)이 지나서 亂離(난리)를 겪어서 文籍(문적)이 없어진 것이 嘆息(탄식)할 일이다. 後孫(후손)들이 齋室(재실)한 間(간)을 지을려고 생각했으나 貧弱(빈약)해서 짓지 못했는데 五世孫(5세손) 鍾遠君(종원군)이 海外(해외)에서 苦生(고생)하며 돈을 모아서 齋室(재실) 짓는 일을 늦출 수 없다고 決心(결심)하고 工事(공사0를 始作(시작)한 지 얼마 안 되어 五楹(오영) 四架(사가)의 韓洋式(한양식)을 짓고 門間(문간)과 庫舍(고사)를 兼備(겸비)하니 華麗(화려)하고 規模(규모)가 넓었다. 落成(낙성)하고 나서 從叔(종숙) 碩在(석재)씨와 나의 벗 姜允錫(강윤석)이 멀리 있는 나를 찾아와서 記文(기문)을 請(청)하였다. 姜君(강군)은 鍾遠(종원)과 內外從間(내외종간)이며 姜(강)은 나의 옛 親舊(친구)이니 辭讓(사양)할 수 있겠느냐. 只今(지금) 世上(세상)은 倫理(윤리)와 道德(도덕)이 땅에 떨어져서 先祖(선조)를 背反(배반)하는 者(자)가 많은데 君(군)이 精誠(정성)을 다하여 祖先(조선)을 追慕(추모)하며 오래 이루지 못한 齋舍(재사)를 落成(낙성)하니 孝誠(효성)이 至極(지극)하지 아니하면 어찌 이렇게 될 수 있겠느냐. 나는 이를 感嘆(감탄)해 마지 않는다. 根源(근원)이 깊으면 물이 멀리 흘러가는 것은 眞里(진리)이다. 公(공)이 德(덕)을 심은 것이 많으면 後孫(후손)들이 오래도록 繁昌(번창)한 것은 當然(당연)한 理致(이치)이다. 祖先(조선)을 섬기는 일은 齋室(재실)을 아름답게 짓는데만 있는 것이 아니다. 祖先(조선)의 德(덕)을 생각하고 祖先(조선)의 행실을 본받아서 오래도록 지켜나가는 것이 祖先(조선)을 섬기는 참다운 道理(도리)이니 이는 齋名(재명)에 合當(합당)하다. 公(공)의 後孫(후손)들은 힘쓰고 힘써야 할 것이다. 景槪(경개)와 地勢(지세)의 아름다운 것은 이 齋室(재실)에 가보면 알 것이다. 甲戌(갑술) 冬至節(동지절) 咸安(함안) 趙光濟(조광제) 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