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1page

는 것은 북서벽 3A과 남동벽 lA으로 모두 4A이다[그림 10] ‘ 모양은 일정하지 않지만 수식에 쓰인 것은 연꽃 같으며, 모양으로 보아 冠을 형상 한 것 같다. 그러나 이것을 冠이라고 한다면 頭上에 얹어 쓰도록 되어야 하는데 크기가 작고 형태에도 문제가 많 다 일단 연꽃으로 보고 연꽃을 冠節으로 이용한 것으로 가정하여 가칭 “運花節冠”이 라고하겠다 북서벽 @ 북서벽 @ 북서벽 @ 남동벽 @ [그림 10] 運花節冠 : 여인의 冠 및 髮形. 선생 묘. 서벽 3A, 동벽 lA 頭創li으로 花冠을 얹은 것은 중국에서는 居代부터 시작되는데, 居代는 周防의 「聲花 {土女圖J (그림 11,12)와 宮樂圖(그림 13), 五代 · 明 · 庸A 作 「며美A圖J (그림 14,15) . 「進香楊女J (그림 16) . 宋代는 「女孝經圖J (그림 17)나 「折짧圖J (그림 18) . 白沙 宋幕 뿔 畵(그림 19) 등에서 보인다. 이 경우는 대부분 머리에 쓰는 冠에 치장하거나 크게 묘사 되었다 [그림 11] I그림 12] I그랩 13] - 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