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94page

제 장18 주 택_ 1249 구조는 막돌 초석 위에 네모기둥을 세운 량가의 단순한 납도리집이다4 . 문은 정지와 광의 판장문을 제외하고는 모두 죽살문으로 되어 있고 안방에는 봉창 이(37×74 )㎝ 라고 하는 작은창이 하나 설치되어 있다 이 창문은 큰문을 열지 않고도 앉은 자리에서 쉽게 밖의. 동태를 살필 수 있도록 안방 출입문 옆에 설치한 편리한 외짝 창이다 전남의 서남부 지역과 특히. 도서연안 지역의 민가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안채는 건립 당시의 원모습을 그대로 갖추고 있어 세기 초 이지역 민가 모습을 살펴19 볼 수 있는 귀중한 현장이다. 이도숙 가옥8. 소재지 신광면 유천리 벽유정∶ 이도숙 세 내외가 거처하고 있다 해방(88 ) . 전인 년대 초에 만원에 매입한가옥이라고1940 9 한다 가옥의 건축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년 이도숙이 이 마을에 입촌할 당시도 이1929 가옥은 벽유 마을에서 고가였다고 한다. 건물은 현재 안채와 문간채 그리고 곡간채, 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랑채도 있었으나 이도숙 이 이사와서 바로 헐어버렸다고 한다. 안채는 지붕개량 시멘트 양기와 만 되어 있( ) 을 뿐 건축 당시의 옛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본 가옥에서는 안채 뒷편의 텃밭 뒤로 별도의 칸 곡간이 건립되어 있어 주목된다2 . 문간채는 칸 자형 구조로 광 문간 각 칸 측간 겸 헛간 칸 형식으로 되어 있다4 “ ” , 1 , 2 . ㅡ 지붕은 스레트로 개량되었다. 안채는 앞 뒤에 퇴를 둔 정면 칸 규모의 비교적 큰 건물이다 평면 형식은 왼쪽으로부5 . 터 정지 큰방 광 사랑방 순으로 배열되고 정지와 사랑방 앞면으로는 각각 작은방과 외, , , 양간이 퇴주선 에서 얼마간 돌출되어 있다( ) .退柱線 따라서 전체적으로 보아 자 평면형을 이루고 있다 심응섭의 안채 가옥과 비교해 볼.ㄷ 때 사랑방과 외양간만이 더 추가된 셈이다. 식구가 많을 때 작은방은 아들 부부가 사용하고 사랑방에서는 머슴과 손님들이 기거하 였다고 한다 다른 가옥과 같이 사랑방 측면으로 툇마루가 설치되어 있고 가구는 고주. 2 3 량가로 네모기둥 위에 납도리만 걸었다. 홍복식 가옥9. 소재지 신광면 유천리 벽류∶ 이도숙가옥 배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