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1page

4부. 전쟁은 끝났지만 287 강에서 물놀이 중 사망하게 된 일은 매우 안타깝고 허망한 일이었 다. 부고를 듣고 허겁지겁 달려오긴 했으나 사람들은 빈소에 앉아 서도 그의 죽음을 믿을 수 없다는 표정이었다. 향년 38세. 너무 이른 죽음이었다. 해방이 되어 중국에서 돌아왔을 때 차일혁은 고향에서 농사를 지으며 평범하게 사는 촌부가 되기를 원했다. 거칠게 몰아닥치는 전쟁의 소용돌이 중심에 서는 것을 피할 수도 있었지만, 그는 역 사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몸을 움직여 그 시련을 온몸으로 받아들 이는 쪽을 택했다. 그는 동시대인으로서 민족의 비극을 담담히 책 임지려는 자세를 보였다. 그는 홀연히 떨쳐 일어나 위기에 처한 나라를 구하려 혼신의 힘을 다했고, 빛나는 승리를 거두었다. 헐벗고 부상당한 피난민과 포화로 집을 잃은 주민들을 보면 그냥 있지 못해 자신의 월급이라도 털어 도와주곤 했다. 전우의 죽음 앞 에 철철 눈물을 흘렸고 그 죽음을 쉽게 잊지 못해 명예라도 높여 주려 애썼다. 전쟁 후에는 민생경찰로 거듭나 주민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여 청렴하고 깨끗한 이미지가 늘 그를 따라다녔다. 그가 서전사 2연대장 시절 남긴 한편의 시는 용맹한 지휘관의 모습 이면에 갖고 있는 시대의식을 잘 드러낸다. 동포끼리 서로 피를 흘리며 싸워야하는 6・25전쟁의 참담함과 비극성을 낮은 목 소리로 말한다. 이 땅의 평화를 기원하며74) 이른 아침에 들판에 나가 일하는 농부에게 물어보라. 공산주의가 무엇이며 74) ‘진중기록’에 기록된 시. 경찰종합학교 강의동 1층 로비중앙에도 게시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