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page


10page

인 방산 허훈은 일찍 공에게 위국간성지재가 될것이니 자중자애하라고 이른바 있다. 1905년 왜제는 을사보호조약이란 미명으로 우리의 주권을 강탈하니 보국 민영환, 향산 이만도 양선열들이 연이어 비분자결하는 와중에서 공은 최후까지 항전보국의 길을 택하였던것이다. 같은해 11월 하순에 의병활동에 있어 천혜의 요쇄인 청송 주왕산에서 내산 이현규의사와 함께 구국격문으로 모병하니 500여명의 애국장정들이 운집하여 우리의 의병부대가 편성되었다. 1906년 병오 2월에 위 부대의 도포장에 피선되고 청송, 영양등지에서 일본군과 선전하였다. 특히 같은해 4월 상순 진보 오누지전투에서 일본군 헌병 오장인 무등부대와 접전하여 무등이하 적사살 10여명의 대첩을 거두었다. 격전에서 불행히 공은 전상을 입게되었으나 불편한 몸을 무릅쓰고 같은해 5월 울진 죽변과 왜관전투에서 일본군을 대파하였고 같은해 8월에 영양군 입안면 교동에서 잔류병력을 재규합할때 의병대장으로 추대되었다. 이때 의병을 재훈련중 일본군부대에 포위되었으나 뛰어난 용병술로 탈출에 성공하였으며 추격하는 일본군에 고전하였다. 1907년 정미 11월 21일 태백산맥의 고산준령인 안동군 임동면 대곡동 장갈령전투에서 수일간의 교전끝에 우세한 적병력의 집중화공에 장렬히 순국하니 향년 30이었다. 국가는 공의 혁혁한 공훈을 기리어 1977년 12월 13일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간산 정만현의 문집중에 학남 김대규의사전과ㅣ 한국독립운동사에 각등재된 관계문헌 사료를 보고 공의 위국충절에 감복하여 위와같이 기공을 약술하고 이에 명하노니 태백산정기받은 절세의 항일투사 내 한몸 초개같이 나라에 바쳤다오. 청사에 빛난 공적 오늘의 우리 광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