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page

인문고전 독서교육이 초등학생의 독서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181 게 읽을 수 있는, 독서가 습관화된 힘, 바로 이것이 독서력이다. 2.2.2 독서력 측정 요즘은 학교나 가정에서 모두 독서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교육의 핵심 정책으로도 학생 들의 독서력 향상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과학적으로 타당하고 신뢰성 있게 측정․평가한 학생들 의 독서력은 독서 지도에 대해 과학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된다. 건강한 몸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검진과 그에 따른 적절한 처방이 필요한 것처럼, 개개인에 맞는 효과적인 독서교육 을 위해서는 주기적인 평가와 그에 따른 적절한 지도가 필수적이다 . 독서 검사 도구를 통해 얻어지는 결과는 개별 학생과 그 학생이 속한 전체 집단의 현재의 독서 수준은 물론 독서 능력의 하위 요소별로 장․단점을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토대로 한 독서 지도 자료의 개발 및 독서지도 방법의 개발도 가능하다. 2.3 선행연구 지금까지 이루어진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인문고전 독서교육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고 그 특성과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임화섭은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 문학 작품들을 구비 문학과 기록 문학으로 나눈 다음, 기록 문학은 시가 문학, 서사 문학, 수필과 평론 문학으로 분류하여 학년별 수록 상황을 살펴보았 다. 그리고 초등학교 학습자에게 고전 문학 작품을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하여 고전 문학 작품의 교과서 수록 양상을 학년별 , 교과서별, 지도단계별로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교과서에 고전 문학 작품 중 구비 문학과 기록 문학의 비율의 조정이 필요하며 각 하위 장르별 적절한 안배 또는 수록 비율이 낮은 판소리, 시조의 경우 우선적 보완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초등학교 특성 에 맞는 고전 문학 교육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하였다(임화섭 2006). 황택주는 학습자의 ‘창의적 국어사용 능력 향상'을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의 읽기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문학 제재의 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그 효율적인 지도 방안을 탐색하였다. 초등학교에서의 고전교 육은 중고등학교의 교육과는 달리, 고전 문학 교재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모색하여 초등학교 고전 독서 교육이 즐거운 것이라는 인식을 학습자에게 형성시킴과 동시에 언어사용 기능을 강조하는 국어과 특성에 맞추어 수업을 구안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황택주 2002). 고전 문학 교재를 언어 교육의 자료로 통합하여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탐구하기 위해 통합적 교수-학습 방법을 언어기능 의 통합이라는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읽기와 쓰기의 통합적 집단 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노정화는 고전 소설에 대한 아동의 반응을 통해 작품이 어떻게 아동들에게 수용되며, 아동의 성격이 작품 해석에 어떻게 달리 반응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문학 작품은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의미와 효과가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의 취향과 특성, 현재적 처지 등이 함께 어우러져 다양한 효과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