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page

194 ∙ 한국독서교육학회지 제1권 제1호(2013) 집단 변수 구분 1학기 2학기 표본수 비율 표본수 비율 A집단 성별 남 30 57.7% 30 57.7% 여 22 42.3% 22 42.3% 학급 2반 25 48.1% 27 51.9% 3반 27 51.9% 25 48.1% 독서 능력 수준 수준이하 12 23.1% 2 3.8% 평균수준 33 63.5% 31 59.6% 수준이상 7 13.5% 19 36.5% A집단 소계 52 100.0% 52 100.0% B집단 성별 남 31 53.4% 30 53.6% 여 27 46.6% 26 46.4% 학급 1반 30 51.7% 29 51.8% 2반 28 48.3% 27 48.2% 독서 능력 수준 수준이하 17 29.3% 14 25.0% 평균수준 32 55.2% 33 58.9% 수준이상 9 15.5% 9 16.1% B집단 소계 58 100.0% 56 100.0% <표 8> 일반적 특성에 대한 기술통계 5.3 가설 분석 결과 5.3.1 집단 간 동질성 검증 실험연구에서는 두 집단의 실험 사전-사후 차이의 변화량이 종속변수일 경우 실험처치 외에 영향 을 미칠 수 있는 가외변인을 통제해야 한다. 두 집단의 사전점수가 다를 경우 변화량의 차이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사전점수가 가외변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정확한 실험처 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점수가 동일한 조건을 만족시키고자 두 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실시하 였다. 분석방법으로 실험집단인 A집단과 통제집단인 B집단의 인문고전 독서교육 전 1학기 독서능력 평가결과의 차이를 t-검증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표 9>와 같이 독서능력 점수인 LQ에서 A집단의 평균은 474.81점, B집단의 평균은 457.76점으로 A집단의 평균이 높았으나 평균차이검증 결과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두 집단은 독서능력의 차이가 보이지 않음 이 밝혀졌다. 또한 세부 독서능력평가변수인 어휘력 및 사실적 독해력, 추론적 독해력, 비판적 독해력 에서도 A집단과 B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문학, 인문/예술, 사회과 학, 자연과학 분야별 독서력 역시 A집단과 B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실험집단인 A집단과 통제집단인 B집단은 인문고전 독서교육 처치 전 독서능력 및 어휘력, 세부 독해력, 분야별 독서력에서도 모두 동질성이 입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