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page

162 ∙ 한국독서교육학회지 제1권 제1호(2013) 기에 가장 적당하다. 또 읽어주기 방식을 사용하고자 한다. 책 읽어주기는 아동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고 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읽어준 이의 음성을 통해 아동 스스로 읽고자 하는 동기를 부여하고 혼자 읽었을 때 느끼지 못했던 이미지를 음성을 통해 더욱 구체화(이지 호 2007, 14)시킬 수 있고, 성인이 아동에게 책을 읽어주는 것은 아동의 독해력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즐겁게 읽기를 할 수 있는 긍정적인 읽기 태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며 아동의 독립적 읽기를 안내 (곽길여 2011, 8)해 주기 때문이다. 특히 독서와 도서관 관련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 후 초등학생의 학교도서관 이용 횟수가 증가하였고, 학교도서관 기능에 대한 인식과 이해는 물론 학교도서관 이용방 법에 대한 이해도 높아졌다 (송서영 2004, 19). 평생 이용자가 되기 위하여 초등학생들의 독서프로그 램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다시 말해 아동들이 접하게 되는 책은 평생교육의 출발 에 기여하는 역할(한수연, 조현양 2012, 366)을 하기 때문에 이 시기의 독서 경험이 중요하다. 학년 역사의식의 단계 특징 1-2학년 시원의식 始原意識 막연하게 옛것을 느낌 자기중심적임 역사적 시간의식을 신변적인 것을 중심으로 파악 사물에서 옛 것을 느낌(직관적임) 현실과 허구와의 구별 곤란 역사학습 불가능 동화적 이야기를 좋아함 3학년 고금의식 古今意識 옛것과 지금 것을 구별함 자기중심의 해소 옛것과 지금 것을 비교하여 다르다는 것을 이해 현실적 영역과 비현실적 영역이 분화하기 시작함 시간의 거리를 느낌(시간의식) <표 4>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역사의식의 특징 1.3 연구대상과 방법 이 연구는 2013년 5월 ‘옛이야기 그림책 읽어주기 지역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수원 시내 3개 초등 학교 1, 2학년 학생 총 302명을 대상으로 2교시(1교시 40분)에 걸친 그림책 읽어주기를 실시한 것을 바탕으로 하였다. 이제까지 흔히 이루어지던 단순한 책읽어주기 프로그램이 아니라 수원의 초등학생들 에게 그들이 살고 있는 수원이라는 도시의 역사 , 문화적 특수성을 이용한 수원의 초등학생들을 대상 으로 한 지역화 프로그램이다. 이와 비슷한 취지로 모든 학교에서는 현장체험학습을 실시하고 있다. 현장체험학습은 학교 현장에서 흔히 이루어지는 학습 활동이다. 하지만 그것이 이벤트성 혹은 일회적 으로 진행되어 온 측면이 있어 교과와는 연계되지 못하고 이루어져 온 점 , 체험학습을 준비하기 위한 사전 활동과 진행 이후 그 결과를 정리하는 사후활동이 함께 하지 못한 점 등으로 인해 그 교육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