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page

24 ∙ 한국독서교육학회지 제1권 제1호(2013) 1.3 연구의 한계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갖는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25개 시․도교육지원청과 11개 공공도서관, 3개 교육연수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경기도교육청 소속 사서들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연구의 결과를 전체 사서로 일반화하 는 데 한계가 있다. 둘째, 독서관련 자격증 교육에 대한 요구 및 인식 등은 사서 각 개인의 주관적인 판단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한계가 있다. 2. 이론적 배경 2.1 독서전문가로서의 사서의 역할과 기능 및 선행연구 해리스(Harris)에 의하면 독서전문가란 독서 부진아(disability) 또는 지진아(retardation)의 독서 문제를 진단하고, 교정하는 전문적 지식을 갖추고 있거나 보통 학생들의 읽기에 대하여 특별히 교육 을 받은 교사를 말한다. 그들은 학생을 직접 지도할 뿐 아니라 독서교육과 관련된 행정적 기능을 담당 할 수도 있다. 독서전문가에는 독서상담사, 독서지도코디네이터, 독서지도장학사가 포함된다(Harris & Hodges 1981; 정은영, 2008, 19 재인용). 즉 사서가 독서전문가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려면 독서 문제를 진단하고 교정할 수 있는 전문적 지식을 갖추어야 하며, 직접 독서와 관련된 지도를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행정적 기능까지도 담당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독서교육 지도자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인(全人)으로서의 지도자이다. 둘째, 독서인(讀書人)으로서의 지도자이다. 셋째, 학자(學者)로서의 지도자이다. 넷째, 교사(敎師)로서의 지도자이다. 다섯째, 교육상담자(敎育相談者)로서의 지도자이다(김효정 외 1999, 94-95). 즉 사서가 독서전문가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려면 전인, 독서인, 학자, 교사, 교육상담자로의 지도자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지식정보사회가 되면서 사서의 역할은 자료의 수집과 보존은 기본이며, 다양한 도서관업무 능력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그 중 요구되는 업무 능력 중 하나가 독서전문가로서의 역할 수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