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page

문학작품의 분석심리학적 해석을 통한 독서치료적 요인 분석 ∙ 5 강현미(2004)는 <Perrault의 옛이야기의 분석심리학적 접근>에서 옛이야기의 기원과 원시 부족들 사이에서 행해지던 통과제의와 유사성을 통해 옛이야기의 심적 이야기를 분석하여 옛이야기의 심리 적 주제를 자기실현으로 보았다. 이부영(1991)은 <분석심리학에 있어서 상징의 의미>에서 상징을 집단 무의식의 표현으로 보고 집단 무의식은 원형으로 구성되고 원형은 원형 그 자체와 원형 상으로 구별된다고 하였다 . 상징이란 개념은 분석심리학 일반을 특징화 하고 인간의 본질인 전체성의 체험을 통한 치유를 가능케 하는 의의를 갖는다. 그 밖에 민담이나 설화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분석을 시도한 많은 연구(김환희 2002; 심중환 200; 이부영 1995; 황경숙 1995)가 이루어지고 있다(피종삼 2011). 2. 문학작품 해석을 위한 상징의 이해 어떤 대상이나 사상이 다른 대상이나 사상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정신기제를 상징화(象徵化, symbolization)라고 한다. 한 대상으로부터 그 대상을 나타내는 상징물(symbol)로 감정의 가치 (emotional value)가 이동한다. 이 과정이 상징화의 본질이다. 대체로 원래의 대상은 금기의 성질을 띠고 있으며, 내세워지는 대상은 그 점에서 중립적이거나 또는 무난한 경우가 대부분이다(이무석 2004). 2.1 분석심리학에서 상징의 기능과 효과 C. G. 융은 “상징은 그 본성이 아직 알려져 있지 않았기 때문에 다만 짐작될 수밖에 없는 무의식의 내용을 표현하는 가장 좋은 표현 수단이 된다(C. G. Jung 1983)."고 주장하였다. 의식이 미처 다 표현하지 못하는 내용들을 무의식이 통합적으로 드러내려고 하는 것처럼 상징 역시 두 가지 이상의 의미를 하나의 이미지 속에 담아서 한꺼번에 표상한다. 어원적으로 살펴보면 symbol은 “함께 하다" 는 의미를 가진 그리스어 동사 symballo에서 파생된 symbalon에서 나왔다. 그래서 symbalon은 원래 도자기나 금속 등 하나로 되어 있는 물건을 두 사람이 헤어질 때 반으로 나누어 가졌다가 , 오랜 시간 이 흐른 다음 다시 만나서 나누어진 부분을 맞춰 보고 그것이 원래 하나였음을 확인하는 물체였다(E. Littre 1959). 상징은 언제나 그 이미지가 본래 나타내는 일차적인 의미(symbolizing)와 그 이미지에서 표상되는 이차적인 의미(symbolized)를 동시에 담고 있는 것은 그 때문이다 - “상징은 두 가지의 의미를 표출 하고 있다. 하나의 의미는 해당되는 그 단어가 이미 그 용례(用例)에 따라서 나타내는 주된 의미이며, 두 번째 의미는 그 주된 의미에서 암시되고 있는 또 다른 의미이다(J. Ladriere 1982)." 그래서 상징 은 다른 수단을 통해서는 모두 다 드러낼 수 없는 어떤 것의 의미를 하나의 이미지 속에 담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