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page

문학작품의 분석심리학적 해석을 통한 독서치료적 요인 분석 ∙ 17 소설은 독서치료를 위한 자료 선정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인 ‘긍정적 주제’를 잘 실천하고 있기도 하다 . 여기서 말하는 긍정적 주제는, 고난을 겪는 주인공의 등장, 그 고난을 스스로의 힘으로 해결해 나가는 과정의 설정, 그 결과 얻어지는 행복한 결말을 의미한다. 이런 측면에 비추어 봤을 때, 자신과 딸 모두에게 어려움이 있는 로즈라는 주인공이 스스로의 용기와 노력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평화를 얻어 나가는 과정이 잘 드러나 있기 때문에, 독서치료용 자료로 매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통찰의 차원은 모든 사람들의 냉소적인 시선을 꿋꿋하게 버텨낸 로즈의 용기, 결국 문제 해결을 위해 도전을 하는 그녀의 모습, 그 결과 얻어낸 행복한 결말 등의 장면에서 일어나지 않을까 싶다 . 특히 일차적으로 역기능 가정에서 자라나, 어린 시절에 정서가 충족되지 못하고 상처받 은 결과로 인하여 성인이 되어서도 과거 내재아가 그 안에 그대로 존재하고 있는 성인 아이(adult child)가 있는 분들이라면, 그 부분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다지게 될 것이다. 통찰의 측면 역시 그 중심에는 ‘모성애’가 자리 잡고 있겠지만, 그 이외 치료 대상자에 따라 다른 측면들이 개입될 여지는 충분히 있다. 심리학 이론 가운데 충분히 좋은 어머니(good enough mother)라는 개념이 있다. 이는 유아에게 최적의 편안함과 위안을 주는 어머니, 즉 안아주는 환경을 제공해주는 어머니를 뜻한다. 그런 어머니 는 아기의 공생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고, 그렇게 함으로써 아기가 “몸짓"을 통해 신체 자기를 형성하 는 과정을 돕고, 진정되고 능동적인 방식으로 대상을 사랑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해준다는 것이다. 따라서 어머니는 자신의 욕구를 내세우는 대신 아이가 원하는 것을 적정 시간에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는 이론이다. 더불어 아이가 좌절이나 공격성, 상실을 경험할 때에도, 지속적인 안아줌과 함께 공감과 지지, 격려를 제공해 주라는 것이다. 만약 그런 엄마로서의 역할에 충실하게 되면 아이들은 자신의 능력을 신뢰하는 전능감을 갖게 된다고 하는데, 무척 어려운 일일 것 같지만 이미 자신에게 있는 자연스러운 모성 본능에 따르면 충분히 좋은 어머니가 될 수 있다고 한다. 영국을 중심으로 활동한 대상관계이론의 대가인 도널드 위니캇2) 또한 이것은 자발적인 과정이며, 좋은 어머니가 되기 위한 안내서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본질적인 여성성’은 모성과 맞닿아 있다. 이 모성성은 아이를 낳고, 기르고, 가부장제가 여성다움의 정의를 바꿔놓은 생리기능과 관련된 것을 의미할 뿐 아니라, 자기 자신의 육체와 감정에 대한 강한 경험을 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 이렇듯 여성적 삶에서 가장 큰 의미를 지니는 것이 모성이다. 여성의 모든 통과의례는 이 모성과 뗄 수 없는 관계에 놓여 있다. 총체적 여성들은 모두 어머니로의 여성이다. 개체로서의 여성 안에는 무한대의 어머니들이 존재한다. 작품 속 그녀들의 정체성은 여성이고 동시에 어머니인 것이다 (강윤희 2008). 진정 ‘어머니’들은 강하다. 아니 강함을 요구받는다. 그것도 나 자신이 아닌 아이를 위한 강함을 요구 받는다. 그러다 보니 ‘여성’으로서의 약함과 상실감 등은 이면에 가려지게 마련이며, 아예 기혼 2) 그는 아동과 부모가 제공하는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의 맥락에서 자기의 발달과 발달장애를 설명하는 관계구조모델에 기초를 둔 인간 경험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확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