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3page

- 133 - 7)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獨立運動史編纂委員會) 편(編) : 《독립운동사자료집(獨立運動史資 料集) 3》(국가보훈처, 1971), pp.281∼315. 8) 그러나, 이 자료는 평산의병에 동참했던 인물이거나 아니면 그 후손에 의해 편찬된 것으 로만 추측될 뿐 작자가 확실하지 않은 점이 사료적 가치를 손상시키고 있다. 더욱이 이 자 료는 전사(轉寫)된 것으로 믿어지는 만큼 그 과정에서 다소간의 첨삭이 있을지도 모른다 . 그러므로 엄격한 사료비판 작업이 요청되고 있다. 9) 황현(黃玹) 《매천야록(梅泉野錄)》(국사편찬위원회, 1955). 10) 송상도(宋相燾) : 《기려수필(騎驢隨筆)》(국사편찬위원회, 1955) 11) 《독립신문(獨立新聞)》(상해판(上海版)) 1920년 4월 27일 ; 제70호∼동년 5월 29일 ; 제79호. 졸저 《한국근대사료론(韓國近代史料論)》(일조각(一潮閣)), 1979), pp.21∼55에 그 원문을 전재하였다. 12) 박은식(朴殷植) : 《한국독립운동지혈사(韓國獨立運動之血史)》(유신사(維新社), 상해(上 海), 1920)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편 : 《박은식전서상(朴殷植全書上)》, 1975. 13) 졸작(拙作) <「의병전(義兵傳)」해제(解題)>(《한국학보(韓國學報)》1, 일지사(一志社) , 1975) 14) 조선총독부경무국(朝鮮總督府警務局) 편(編) : 《폭도사편집자료(暴徒史編輯資料)》(《독 립운동사자료집(獨立運動史資料集) 3》, 보훈처, 1971), pp.501∼654. 15) 김의환(金義換) : 《항일의병장열전(抗日義兵將列傳)》(박영사(博英社), 1975). 16) 이와 같은 시기구분은 재일사학자 강재언(姜在彦)이 <반일의병운동(反日義兵運動)의 역 사적 전개(歷史的 展開)>(《조선근대사연구(朝鮮近代史硏究)》, 일본평론사(日本評論社). 동 경(東京), 1970 ; 역서(譯書) 《한국근대사연구(韓國近代史硏究)》, 한울, 1982)에서도 시도 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