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page

군 사 사 / 기 타 군사연구 제130집 321 첫째, 북베트남군의 전략․전술, 당시 동서 냉전의 틀 속에서 연합군의 파병과 전투내용 분석, 베트남전쟁의 게릴라전 특성이 향후 전개되는 전쟁에 어떠한 영 향을 미쳤는지 등 다양한 측면에서 베트남전쟁사 연구의 방향설정이 필요하다. 52) 북베트남측은 그들이 수행하고 있는 전쟁의 본질을 잘 이해하고 있었다. 그들은 승리의 열쇠는 미국인들의 전쟁수행 의지에 있다는 점을 간파하고 있었다. 53) 이 러한 점을 이용하여 1968년에 시작한 평화협상이 6년이 경과한 다음 북베트남이 축하는 방향으로 협정이 체결된 것을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 즉 6․25전쟁 정전 협정도 수많은 인명손실을 초래했다. 이러한 사실은 현재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회담이 중단된 것을 견주어 보면 보다 많은 인내와 고도의 협상전략이 필요한 것 이다. 공산주의자들은 그들이 원하는 결과를 얻기까지 시간과 인적․물적손실을 뒤로 한 채 끈질기게 협상에 임한다는 사실이다. 진정한 전사연구는 피(皮)측의 성공요인과 아(我)측의 실패요인을 동시에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제4세대 전쟁에 대한 이해와 대비책 강구가 필요하다. 54) 이라크 및 아프 간 전쟁을 통해 아무리 우수한 첨단무기로 무장한 군사력도 전장환경에 따라 재 래식 전력에 고전을 하고 있는 현실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한국군은 다 행히 제4세대 전쟁의 시험장이었던 베트남전, 이라크전, 아프가니스탄에 파병하여 직접․간접적으로 경험을 가졌다. 최근 천안함 피격사건을 계기로 비대칭전력에 대한 대비책이 강구되고 있다. 왜냐하면 한반도의 전장은 국토의 70% 이상이 산 악으로 6․25전쟁 당시의 환경과는 판이하게 다른 울창한 산림으로 구성되어 있 고, 북한지역 또한 대부분이 산악지형이며 이에 대한 대비소홀로 북진작전간 많 은 손실을 입었던 사실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셋째, 베트남전쟁 당시 공산권 국가의 북베트남 지원에 대해 깊이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중국은 1965년 6월 이후, 방공부대(고사포부대), 철도부대, 공병부대 등 을 중심으로 한 지원부대를 파견했다. 주로 북베트남의 중국 인접 지역에서 수송 52) 베트남전쟁사 연구경향 분석에 대해서는 오홍국, 「베트남전쟁사 연구경향 분석 및 향 후 과제」,『베트남연구』제10호, pp.76∼100. 참조 53) Thomas X. Hammes․하광희 등 3명 譯,『21세기 전쟁』, 한국국방연구원, 2010, p.121. 54) 위의 책, pp.1∼45. 제4세대 전쟁이란, 전쟁수행 방식이 당시의 정치․사회․경제 구조와 더불어 서서히 발전하는 단계로 보고, 제1세대는 병력의 집중, 제2세대는 화력의집중, 제 3세대는 기동에 의한 것으로 보고 있다. 제4세대는 군사적으로 약한 쪽이 강한 쪽을 상 대로 각종 비대칭전력을 이용하여 장기간에 걸쳐 전쟁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 에 대한 전쟁의 특성은 pp.295∼317.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