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page

군 사 사 / 기 타 군사연구 제130집 317 한편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했던 평정작전에 대해서도 일부 비판적인 평가가 있 었다. 즉, 미군의 민사작전개발지원단의 평가에 의하면, 한국군은 지역 안전에 탁 월한 기여를 했지만 베트남의 지역군을 강화시키는 일과 정착촌지역이 다시 퇴화 하는 것을 막는 일에 대해서는 관심을 쏟지 않았다. 한국군은 탁월한 지역안전을 제공했으며 남베트남민족해방전선에 대항하여 효과적으로 작전을 수행했던 반면 한국군과 베트남군 사이의 협력과 관계개선은 평화노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분야 인데 이 분야에서는 만족할 수 없는 성과였다. 41) Ⅲ. 베트남전쟁의 재인식과 향후 과제 1. 베트남전쟁 재인식 베트남전쟁에 대한 역사인식 및 연구는 1989년 냉전의 종식 이후 새로운 방향 이 모색되고 있다. 즉 전쟁 당시의 동서진영의 첨예한 이념 및 군사적 대립의 틀 에서 벗어나 보다 객관적이고 균형적인 시각에서 접근하고 있다. 즉 전쟁의 성격 과 본질, 참전의 명분과 실리, 전쟁 지도와 군사력 운용 등에 대한 재인식이다. 우선, 전쟁의 본질에 대해서는 냉전상황에서 미국은 베트남전쟁을 비공산주의 정부에 대한 공산주의정부의 침략으로 이해했다. 만약 남베트남이 공산주의의 수 중에 떨어지면, 동남아시아의 다른 비공산주의정부들이 도미노처럼 무너질지도 모른다고 우려한 것이다. 반면 북베트남정부와 그들의 남부동맹군(남베트남민족 해방전선)은 그 전쟁을 독립과 민족자결을 위해 프랑스를 상대로 벌였던 투쟁의 연속으로 보았다. 42) 다음은 전쟁 명분과 실리에 관해서는, 103개월간의 제2차 베트남전쟁이 막을 내린 1973년 이후 여전히 미국은 세계의 여러 곳에서 군사적 개입을 하고 있다. 아직도 아프가니스탄에서는 104개월 이상 긴 전쟁을 수행하고 있다. 더구나 이라 크에서는 8월 19일 7년 5개월의 ‘이라크 자유작전’이 종료되고 ‘새로운 여명작전’ 이 시작되었지만 유엔의 동의도 받지 못한 이라크전쟁은 전쟁의 명분과 실리에 41) 스탠리 로버트 라슨 외․이주만 譯, 『베트남 참전 동맹군』, p.210. 42) 조지프 나이․양준희 외 譯,『국제분쟁의 이해』, 한울, 2009, p.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