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8page

군 사 사 / 기 타 군사연구 제130집 315 출처 :『베트남전쟁과 한국군』, 2004. <그림 3> 제9사단 배치 및 증원 검토지역 략적 중요성 및 냐짱, 캄란 등 주요항만의 확장시 한국기업의 진출여건 조성 등 여러 가지 고려사항을 들어 투이호아-냐짱에 이르는 종적 배치를 관철하게 된다. 그러나 미군의 시각에서 보면 한국군이 미군과의 협조된 작전보다 자국의 국가이 익에 지나치게 집착한 것으로 평가받기도 했다. 37) 다음으로 1972년 춘계공세시 꼰 뚬 지역에 제9사단 투입 요청 사례 를 알아보자. 1972년 4월 30일, 북 베트남군의 전면적인 공세였던 춘 계공세는 전 지역에서 병행되었다. 중부고원지대의 꼰뚬(Kontum) 공 방전은 남베트남군 제23사단이 플 레이쿠에서 꼰뚬방어를 위해 4월 28일 이동 후 꼰뚬 남쪽 차파오 (Chu Pao)고개가 남베트남군 제320 사단 2개 연대에 의해 2개월 동안 차단되었다. 제23사단이 이를 돌파 하기 위한 작전을 실시했으나 실패 하자 주월미군사령관 에이브람스 대장이 ②번 지역에 한국군 제9사단의 투입을 요청하였다. 그러나 남베트남군 총사령관의 반대로 투입되지 않았으나 이러한 사실 을 고려시 제2군단 지역에서의 제9사단 전술적 운용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 38) 지금까지의 각종 전훈 분석은 제9사단이 푸옌성으로부터 닌투안성에 이르는 1번 국도의 확보로 전반기 베트남전쟁에서 연합군에게 유리한 측면을 제공했다. 그리 고 부수적으로 주요항구인 캄란 항에 한국기업 진출여건을 보장하는데 기여한 긍 정적인 측면에서만 조명되었다. 그러나 군사적인 시각에서 보면 당시 한국군 지 휘권 문제와 제9사단의 운용에 대해 미군과 협상이 6개월 이상 소요된 것은 그만 큼 미군의 입장에서 보면 전투부대인 제9사단의 운용은 그만큼 중요했던 것이다. 결국 우리의 여러 가지 입장이 고려되어 당시 책임지역에서 운용되었으나 1번 37) 베트남전쟁시 미군과 작전지휘권 협상과 연합작전에 관해서는 채명신,「베트남전쟁의 특성과 연합작전」,『베트남전쟁 연구 총서』제1권,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pp.1∼102.를 참조. 38) 국방부,『派駐越韓國軍戰』제9권, 전사편찬위원회, 1976, pp.415∼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