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8page

군 사 사 / 기 타 군사연구 제130집 305 그러나 이러한 지원의 결과는 남베트남의 부패한 관리들의 횡령 등으로 오히려 남베트남 국민들의 불신을 삼기도 했다. 이러한 예는 최근의 이라크전쟁 전후 복 구사업 예산의 유용에 대한 사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즉 전쟁이든 분쟁지역에 서의 민사작전 수행 시 해당 국가의 경우는 청렴하지 못한 행정조직을 통해 이루 어지므로 이를 감시 및 확인 체계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한국군의 역할 분석 가. 지상작전 1963년 11월 22일 케네디 대통령의 암살로, 그 뒤를 이어 존슨 부통령이 제36 대 대통령에 취임했다. 존슨 대통령은 남베트남의 정치적 혼란이 아시아 지역의 공산화로 확산될 것을 우려해 ‘다국적 군사지원(More Flags in Vietnam)’을 확보 하여, 베트남 전쟁의 ‘국제화’를 추진했다. 1964년 4월 하순, 존슨은 도미노이론을 적극 활용하면서, 동남아시아 조약기구(SEATO)뿐만 아니라 북대서양 조약기구 (NATO)의 회원국들의 동참을 적극 종용했다. 한국을 포함한 25개국이 미국의 요청을 받았지만 대부분 국가들은 난색을 표명했다. 18) 이에 반해 한국은 미국의 요청을 적극 수용하여 의료지원단 및 태권도 교관단 을 시작으로 건설지원단, 해병여단, 수도사단 및 제9사단의 전투병력을 점진적으 로 파병했다. 이후 1973년 3월 철수까지 8년 6개월간 많은 연합 및 합동작전을 통해 우수한 한국군의 전투력을 발휘했다. 여기에서는 그동안 전투성과 위주의 분석에서 벗어나 전쟁 전 기간 중 전환점이 되는 1968년을 기준으로 ‘전쟁의 미 국화’와 ‘전쟁의 베트남화’로 구분하여 주요 지상작전 위주로 분석해 보겠다. 한국군은 파병 기간 중 대대급 이상 전투는 총 1,175회를 실시하여 많은 전과 를 올렸고 5,099명의 인명손실이 있었다. 분석대상은 전체작전 중 대내․외적으로 베트남 전쟁에서 한국군의 전술을 적용했거나 전체 작전에 기여했던 20개 전투 위주로 분석해 보고, 작전병력 대비 작전횟수, 전사자 숫자를 그래프로 도식화함 으로써 상호 상관관계에 대한 접근을 해 보았다. 먼저 전반기 작전은 파병부대의 최초 전투였던 1965년 10월 수도사단의 ‘풍선 18) 차상철, 「존슨과 박정희 그리고 1970년대의 한미동맹」,『군사』제58호, p.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