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3page

베트남전쟁시 다국적군으로서 한국군의 역할 및 향후 과제 300 군사연구 제130집 야 한다고 결심했다. 5) 따라서 공산화를 저지하기 위해 군사고문단을 비롯한 군사원조를 강화하게 된 다. 그러나 남베트남은 극심한 정치적 불안정으로, 특히 ‘남베트남민족해방전선 (National Liberation Front, NFL)’은 테러 등을 자행하여 사회혼란을 유발했다. 6) 그리고 북베트남은 수천 명의 남부 출신 공산당원들을 남파하고, 다량의 군수물 자와 장비들을 지원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의 케네디 정부는 남베트남에 군 사적으로 적극 개입하게 되고 군사원조사령부를 설치하여 주도적으로 작전을 수 행했다. 뒤를 이어 존슨정부는 국제사회의 참여와 지지를 얻어내기 위해 1964년 4월 23일, 동남아시아조약기구 국가들과 한국 등 우방국들에게 ‘자유세계원조프로 그램’ 참여를 요청했다. 1964년 8월 2일, 통킹만 사건 7)으로 베트남전쟁은 미국이 북폭을 포함한 지상군 의 대규모 투입과 아울러 한국을 포함한 40개 국이 군사 및 비군사적 지원을 제 공했다. 남베트남을 지원했던 연합군의 명칭은 당시 ‘베트남 참전 동맹군(Allied Participation in Vietnam)’ 또는 ‘자유세계 우방군’, ‘다국적군(More Flags)’으로 불렸으나 본고에서는 ‘다국적군(Multinational Force)’로 표기했다. 8) 전투병력 파 병 현황은 <표 1>과 같다. 9) 5) 차상철, 「케네디․존슨과 박정희 그리고 1960대의 한미동맹」,『군사』제58호, 국방부 군 사편찬연구소, 2006, pp.5∼6. 6) ‘남베트남민족해방전선'에 대한 약칭으로 미군과 한국군은 ‘베트콩’으로 칭했다. 이제 베트 남전쟁의 연구와 역사인식에서 월남전쟁을 베트남전쟁, 월맹을 북베트남으로 서술하듯이 남베트남민족해방전선으로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세한 내용은 최병욱, 『베트남 근 현대사』, 창비, 2008, pp.160∼169. 참조. 7) ‘통킹만사건’에 관해서는 현재 역사학자들 사이에서는 대통령과 국방장관이 전쟁을 확대하 기 위해, 혹은 적어도 공산주의자들의 반란에 대한 미국의 반대의지를 보여주기 위해 통 킹만 사건을 이용했다는 의견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토머스 J. 크라우프웰 ·채 은진 譯, 『대통령의 오판』, 말글 빛냄, 2010, p.289. 8) ‘다국적군(Mutinational Force or Multilatral Coalition)’ 용어는 한 나라 또는 한 지역의 군 사작전을 위하여 구성되는 다국가군(多國家軍)이다. 병력을 요청한 국가의 동의를 얻어 여 러 국가에서 파견한 병력이 제반 군사활동을 하는 것이다. 국제사회에서 널리 사용하기 시작한 시기는 1982년 레바논 사태 때, 아민 제마일 레바논 대통령이 사태의 사후수습과 국내안전 및 주권 보장을 위하여 미국․프랑스․이탈리아 등 3개국에 병력을 요청하자 다 국적 군대를 파견하게 되었다. http://naver.com, 검색용어; ‘다국적군’ 9) 최용호, 『통계로 보는 베트남전쟁과 한국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7, p.15. 표를 참고하여 참전병력을 합산한 통계치임.